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3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srjJgVdnvWuqmKOgGU4Gu.jpg

 

Prologue to the deeds of King Richard of England, of the king of France, and of the emperor of Germany

(잉글랜드의 리처드 왕, 프랑스 왕, 독일 황제의 행적에 대한 서문)

 

It sometimes happens that with the passing of time even notable and extraordinary deeds fade from memory and pass into oblivion. In this way the glory of numerous kings has withered away, although their magnificent deeds were famous in their own time. When new, their exploits were held in high public esteem as an inspiration to the people; but now they have vanished with them into the grave.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목할 만하고 비범한 행위도 기억에서 사라지고 망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식으로 수많은 왕들의 영광은 시들어 버렸지만 그들의 위대한 업적은 당시에 유명했다. 새로운 경우에서, 그들의 공훈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대중의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이제 그들은 그들과 함께 무덤으로 사라졌다.

 

The ancient Greeks were inspired to remedy this problem with the written word, and urged their writers - whom they called ‘historiographers’ - to record histories of events. The happy result was that the written record spoke in place of the living voice so that the virtues of these mortals did not die with them.

 

고대 그리스인들은 글로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영감을 받았고, 그들이 '역사학자'라고 부르는 작가들에게 사건의 역사를 기록하도록 촉구하였다. 그 행복한 결과는 서면 기록이 살아 있는 목소리를 대신하여 이 사람들의 미덕이 그들과 함께 죽지 않도록 했다는 것이다.

 

The Romans emulated the Greeks: to ensure that virtue would live forever, they not only took up the work of the pen, but also erected statues. In this way,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ancients and challenging posterity in words they directed their message by various routes to the inner person - through both the eyes and the ears. So they firmly impressed on the minds of their would-be imitators a love of virtue.

 

로마인들은 그리스인들을 모방했는데, 미덕이 영원히 살 수 있도록 그들은 붓의 일을 맡았을 뿐만 아니라 조각상도 세웠다. 이런 식으로 고대인의 시각적 표현과 말로 도전하는 후손을 통해 그들은 눈과 귀를 통해 내면의 사람에게 다양한 경로로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들의 모방자들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미덕에 대한 사랑을 확고히 심어 주었다.

 

Who would know of the journey of Jason, the labours of Hercules, the glory of Alexander or the victories of Caesar if we lacked the benefits of writing? Furthermore, if truth-conscious Antiquity had not left us histories to read no one would be inspired to imitate the deeds of the Holy Fathers, whom the Church frequently commends and commemorates. Indeed, when orators extolled the kings of ancient times, the kings’ greatest desire was that they would come to the notice of posterity through being celebrated by their own contemporaries.

 

우리에게 글쓰기의 혜택이 없다면 누가 이아손의 여정, 헤라클레스의 수고, 알렉산드로스의 영광 혹은 카이사르의 승리를 알까? 더욱이 진리를 의식하는 고대가 우리에게 읽을 역사를 남기지 않았다면 아무도 교회가 자주 칭찬하고 기념하는 교부들의 행위를 본받도록 영감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실로 웅변가들이 고대의 왕들을 칭송할 때, 그 왕의 가장 큰 소망은 동시대 사람들이 축하함으로써 후세의 주목을 받는 것이었다.

 

However, although innumerable writings exist about the deeds of the past, most were written from hearsay and few are eyewitness accounts. Dares of Phrygia’s account of the destruction of Troy is given more credence than others because he was present and saw for himself what others reported from hearsay. On the same basis this history of Jerusalem which we recount should not be unworthy of belief. We proclaim to you what we have seen [1 John ch. 1 v. 3]. Our pen recorded noteworthy events while the memory of them was still fresh.

 

그러나 과거의 행적에 대한 글은 무수히 존재하지만 대부분이 소문으로 쓰인 것이고 목격담은 거의 없다. 트로이의 멸망에 대한 프리기아의 다리우스의 설명은 다른 사람들이 소문으로 보고한 내용을 현장에서 그 스스로 직접 보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더 신빙성이 있다. 같은 근거로 우리가 말하는 이 예루살렘의 역사는 믿을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본 것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요한복음] 우리의 펜은 그 기억이 아직 생생할 때 주목할 만한 사건을 기록했다.

 

Perhaps the discerning audience may demand a more cultured literary style; but they should realise that we wrote this while we were in the military camp, where the battle’s roar does not allow leisure for peaceful thought. Truth is sufficient to please; and although undecorated with polished pomposity, it may still lure the audience into its mystery.

 

아마도 안목 있는 독자들은 더 교양 있는 문학적 스타일을 요구할 것이지만 그들은 우리가 전투의 포효가 평화로운 생각을 위한 여유를 허용하지 않는 군대에 있을 때 이 글을 썼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진실을 만족시키기에는 충분하며, 그리고 세련된 화려함으로 장식되지 않았지만 여전히 독자를 그 신비 속으로 유인할 수 있다.

 

[출처]

 

HELEN. NICHOLSON, 『Chronicle of the Third Crusade: A Translation of the Itinerarium Peregrinorum Et Gesta Regis Ricardi』, Taylor & Francis Group, 2021.

https://books.google.co.kr/books?id=FeSKzgEACAAJ&dq=itinerarium+peregrinorum+et+gesta+regis+ricardi&hl=ko&sa=X&redir_esc=y

 

이 책은 3차 십자군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설명을 담은 연대기인 <Itinerarium Peregrinorum Et Gesta Regis Ricardi> 즉, ‘순례자의 여정과 리처드 왕의 행적’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2024.04.14 5219
공지 K-POP 초보를 위한 필수 앱/사이트 목록 file 😀컴덕871 2024.04.14 460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2024.02.14 5206
734 성경에서 숨길 수 밖에 없었던 책들 / ft. 천국과 지옥 - 베드로 묵시록 file 😀익명077 2024.04.17 277
733 왜 '지옥'인가? 지옥에 숨겨진 상징과 의미 총정리! : 단테의 신곡 지옥편 2부 file 😀익명049 2024.04.16 358
732 아돌프 히틀러 (1889-1945)는 1889년 4월 20일 오스트리아 북부에 😀익명596 2024.04.16 224
731 평범한 사람들이 왜 '끔찍한 죄' 저지를까 😀익명793 2024.04.16 207
730 악한 사회 속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익명184 2024.04.16 247
729 사유(思惟)하지 않는 것 😀익명081 2024.04.16 208
728 악의 평범성’ 그리고 사유하지 않는 기독교 😀익명948 2024.04.16 199
727 K-POP 초보를 위한 필수 앱/사이트 목록 file 😀컴덕871 2024.04.14 460
726 논어 - [위정17] 아는 것을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한다 file 😀익명358 2024.04.12 542
725 지적 수준이 높을 수록 친구가 적은 이유 5가지 😀익명067 2024.04.12 195
724 니체 어록 😀익명229 2024.04.12 199
723 니체의 말 - 성공하는 사람들의 3가지 공통점 😀익명568 2024.04.06 330
722 아인슈타인 - 인생을 바꾸는 명언 😀익명913 2024.04.06 284
721 쇼펜하우어의 인생조언 - 혼자 되는 법을 배워라 😀익명280 2024.04.06 319
720 ** 세계 신학 논문 List ** 리스트는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익명835 2024.04.06 431
719 믿음의 증거를 만져볼 수 있는 이집트 교회를 가다 │이집트로 간 예수 1부 (4K) file 😀익명119 2024.04.05 256
718 황제, 교회 그리고 도마복음 (마지막편) | 신보다 권력을 택했던 교회 file 😀익명736 2024.03.27 389
717 왜 교회는 ‘휴머니즘’이라는 단어를 혐오하게 되었을까? | 예수님이 추구했던 ‘안드로포스(온전한 인간)’를 ... file 😀익명608 2024.03.27 361
716 자본주의'의 정신적 지주가 된 개신교 교회의 칼뱅교회 😀익명511 2024.03.27 387
715 '자본주의'의 정신적 지주가 된 개신교 교회의 '칼뱅주의' | '예정론'과 &#0... file 😀익명665 2024.03.27 4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