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3 추천 수 0 댓글 0
전통 관습, 규범, 문화에 의해 특정 현상이나 사물을 이해 과학적 방법 과학 과학적 절차, 즉 체계적인 관찰과 분석, 해석 및 일반화의 과정을 통해 산출된 지식(과학적 지식)에 의존 사회복지조사론 1주차 1차시 과학에 대한 이해 1. 과학이란 무엇인가? 조사는 이론과 함께 과학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조사는 과학적이어야 하고, 과학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한다. 과학적이지 않은 조사는 조사라고 할 수 없고, 과학적인 조사과정을 거치지 않은 지식은 이론이라고 할 수 없다. 과학적 이론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지식은 우리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한다. 따라서 과학의 개념과 그 속의 조사와 이론의 개념을 명확히 알아야만 객관적으로 납득이 되는 조사를 수행하고 이론을 확보하거나 검증할 수 있게 한다. 1) 어원과 정의 (1) 어원 : 과학(science)의 어원은 'scire'로 이는 '알다'라는 뜻이다. (2) 정의 : 과학은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 '알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이다. '알다'라는 것은 대상을 전제하는 말로, 즉, 어떤 대상을 안다는 뜻이 된다. 그러므로, 과학은 '어떤 것을 알게 되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알게 된 어떤 것'이 지식, 즉, 이론이고, '알게 되는 과정'은 조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토대로 과학은 이론과 조사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식) 과학= 이론+조사 2. 이해의 유형 1) 경험 - 경험도 지식의 기반을 제공 - 경험은 미래행동에 대한 안내자 역할 사회복지 : 실천지혜 -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실에 기초하여 사물을 이해 2) 권위 - 외부의 지식출처, 즉 전문가가 의존해서 이해 - 1 - 사회복지조사론 3) 전통 - 관습, 규범, 문화에 의해 특정 현상이나 사물을 이해 4) 과학 - 지식을 생산하는 체계, 그리고 그 체계로부터 생산된 지식 - 과학 = 이론 + 조사방법 - 이론 = ‘사회현상이 어떤 상태인지를 말하고 이에 대해 논리적인 설명을 하는 것’ : 과학적 절차, 즉 체계적인 관찰과 분석, 해석 및 일반화의 과정을 통해 산출된 지식(과학적 지식)에 의존 3. 과학적 지식 탐구와 비과학적 지식탐구 1) 과학적 지식탐구 - 지식탐구를 과학에 의존하여 가능한 한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증명하는 방법이다. - 오류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2) 비과학적 지식탐구 (1) 관습에 의한 방법(method of tenacity) : 사회적 습관이나 관습에 의해 비판 없이 그대로 수용하여 지식으로 형성하는 것 (2) 권위에 의한 방법(method of authority) : 주장의 타당성과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전문기술을 가졌거나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의 말(의견)을 인용하는 경우인데 지식의 원천이 타인 또는 타 조직의 권위에 있다. (3) 직관에 의한 방법(method of intuition) : 추론 등을 개입하지 않고 대상을 직접 인식하여 스스로 분명한 명제에 호소하는 방법이다. 예)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위와 같은 명제는 많은 사람들에게 의심 없이 받아들여지는 것으로서 당시의 유행이나 어릴 때부터 교육에 의해 당연하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 2 - 사회복지조사론 4. 일상적 지식탐구 과정에서 범할 수 있는 오류 1) 일상적 경험 지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1) 부정확한 관찰(inaccurate observation) : 일상생활에서의 관찰은 대부분 자신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부정확한 관찰이 되기 쉽다. (2) 과도한 일반화(over generalization) : 소수의 사례를 가지고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일 때의 오류를 말한다. (3) 선별적인 관찰(selective reasoning) : 선별적 관찰을 과도한 일반화에서 비롯된다. 자신의 선입관에 근거한 사례가 더 선명하게 관찰된다. 예) 유대인 가게주인에게 한 번 속은 적이 있는 사람의 경우 이러한 경우 정직한 유대인과 부정직한 비 유대인은 무시한 채, 오직 유대인의 부정직한 행동에 특별히 관심을 갖기 쉽게 된다. (4) 꾸며낸 정보를 가지고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경우 : 편견을 가진 대상이 자신이 기대하는 방향으로 나타나지 않을 때, 이를 부정하기 위한 정보를 스스로 조작하거나 왜곡하는 경우를 말한다. (5) 사후발생적(소급) 가설(Ex Post Facto Hypothesizing) : 가설을 설정한 후 사실을 관찰하며 그 가설의 진위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관찰이 이루어진 후 가설을 설정하거나 사실을 관찰하면서 자신의 추론을 뒤쫓아 가설이 옳다고 입증하려고 하는 경우이다. (6) 비논리적 추론 :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논리적 추론이다. 예) 계속 돈을 잃은 도박사가 이제껏 잃어왔기 때문에 이번에는 딸 확률이 높다고 잘못 추론하는 경우 (7) 현상을 이해할 때 자아가 개입 : 자신의 명예, 체면, 권위 등에 손상이 된다고 생각되는 사실을 이해해야 하는 경우,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가 개입되기 쉽다. 예) 자신이 담당한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알기 위해 클라이언트들의 변화를 관찰 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오면 담당자인 자신의 체면에 손상이 가므로 클라이언트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기보다 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처럼 관찰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8) 탐구의 성급한 종료 : 탐구의 결과가 주는 의미가 연구자 자신에게나, 지배 권력에서, 자신의 연구를 지원하는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예측이 된다면, 연구를 신중히 검토하지 않은 결론을 내거나 속임수를 사용하여 종료할 수 있다. (9) 신비화(mystification) : 문제를 이해할 수 없을 때, 초자연적인 현상이나 신비적 원인으로 돌리는 경우를 말한다. 예) "어차피 그건 신의 깊은 뜻으로 일어난 일인데 사람이 어떻게 그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있겠어." 와 같이 말하거나 생각하는 경우이다. - 3 - 사회복지조사론 5. 과학의 특징 1) 논리적(Logical) : 과학은 논리적인 사고 활동으로 과학적 설명은 이치에 맞아야 한다. 2) 결정론적(Deterministic) : 모든 현상은 반드시 어떤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며 논리적으로 원인과 결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함을 가정한다. 그러나 과학이 결정론적이라는 것은 단정적이기 보다 개연성을 가지고 얼마나 더 가까우냐에 따라 확실성을 따지는 확률적 결정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3) 일반적(General) : 개별적인 현상 하나하나를 설명하기보다는 많은 대상의 일반적 성향을 밝혀내어 일반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4) 간결성(Parsimonious) : 어떤 현상을 유형별로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일반화하고 동시에 현상의 유형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요소는 배제하여 간결한 것을 추구한다. 과학의 간결성은 어떤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 필요한 최소한의 설명변수만을 이용하여 가능한 최대의 설명력을 얻으려고 한다. 5) 구체적(Specific) : 연구를 발표할 때 개념들이 어떻게 측정되었는지 개념의 조작화를 통해 개념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고 정의해야 한다. 6)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empirically verifiable) : 과학적 지식은 경험성(empiricism)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경험적 특성은 측정될 수 있고 관찰할 수 있는 현상으로 국한되며 경험적 검증은 다른 주장을 반증함으로써 본래의 주장을 확고하게 입증한다. 7) 연구과정이 같으면 같은 결론(간주관성, Inter-Subjectivity) : 실험과정에서 과학자들이 서로 다른 주관적 동기가 있어도 연구과정이 같으면 결과가 똑같이 나타나야 한다. 8) 수정 가능(open to modification) : 변하지 않는 진리는 없다. 과학이란 당시의 상황에 맞게 수정될 수 있으며 과학은 진리를 추구하기보다 효용(utility)을 탐색하는 것이다. 9) 설명적 : 과학이란 사실을 수집하고 그것을 토대로 설명하는 것, 즉 이론을 수립하는 것이다. 과학은 경험적 사상이나 사건을 모두 망라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일반법칙을 개발하고 단편적이 지식들을 결합하여 사건에 대해 보다 신뢰성 있는 예측을 하거나 현재까지 할 수 없었던 예측을 하는 것이다. 10) 재생 가능성(reproducibility) : 모든 이론은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검증하거나 관찰한 후에 정립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한다. 11) 객관성(objectivity) : 객관성이란 사건이나 현상이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인식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4 - 사회복지조사론 1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사에 대한 이해 1.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1) 연구방법론이란 -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이란 인간의 존재와 사회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방법을 기술, 수집, 분석하는 기준이나 연구 과정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이념, 철학 및 지식체계이다. - 연구방법론에 따라 연구자가 택하는 연구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연구방법은 조사문제나 가설에 관계되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기술과 절차를 말한다. 방법론이 방법보다 상위의 개념이나 구분 없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 연구방법론의 목적 (1) 보고(announcement) : 연구 결과를 추론이나 결론을 내리지 않고 간단한 자료나 통계 수치를 요약 정리하여 발표하는 것이다. (2) 기술(description) : 인간의 행동이나 사회현상을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하였는가에 따라 묘사하는 것을 말하며, 그것들에 대해 정의하기도 한다. 이때 ‘왜(why)'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는다. (3) 설명(explanation) : 기술된 현상의 발생원인(왜? : why)을 밝힘으로써 사회현상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4) 예측(forecasting) : 이론의 기초적인 명제로부터 보다 복잡한 명제를 추론하는 것이다. 즉,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미지의 상황을 추정하는 것이다. 3) 연구방법론의 역할 (1) 연구 목적을 위해 필요한 자료수집이나 분석을 위한 기준이나 방향을 제시한다. (2) 인간의 행동과 사회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법칙을 발견하도록 해 준다. (3) 연구결과의 객관화와 이론화에 기여한다. (4) 양적 방법을 통해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회현상을 설명 할 뿐만 아니라 질적 방법을 통해 인간내면의 가치를 설명하는 역할도 있다. (5) 종합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취함으로써 다양한 학문과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융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6)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보고, 기술, 설명,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4) 사회과학의 한계 - 사회과학의 대상인 인간행위가 갖는 속성 때문에 사회과학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1) 연구대상의 복잡성과 가변성 :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인 인간의 복잡하고 가변적인 형태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인간의 행동은 연구자의 의도를 뛰어넘을 수도 있다. (2) 불완전한 방법적 절차 : 인간행태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실험과 같은 방법들이 - 5 - 사회복지조사론 완전하지 못하다. 특히 인간은 자기가 실험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평소와는 다른 행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자연과학과 같이 엄밀한 통제조작에 의한 연구가 어렵다. (3) 불확실한 객관적 예측 : 연구대상인 인간의 행동은 항상 연구자의 의도를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의 객관적 예측이 늘 맞는 것은 아니다. (4) 연구대상의 규범적인 특성 : 인간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대상이 도덕적이고 규범적이며 따라서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5) 윤리성 : 비인간화를 초래할 가능성 : 연구대상이 인간이기 때문에 연구 과정에서 인간을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하고 수단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데, 이를 소홀히 할 경우 비인간화 문제나 윤리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6) 가치개입의 불가분성 : 연구를 위한 문제를 선정할 경우 가치가 개입되고 수집된 자료와 이들의 관계를 형성하는 명제나 이론의 전개와 관련 있는 개념 및 그 구성과정에서 가치가 개입한다. 그리고 연구자 자신의 가치관과 그 연구가 준거하고 있는 학문세계의 지배적인 가치가 은연중에 작 용할 수 있다. 5) 사회과학의 윤리성 - 사회과학 연구를 위해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조사(research)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 특히 보다 과학성을 높이기 위한 엄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실험조사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사회조사 수행 시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1) 연구내용 및 주제 : 연구내용이 인간에게 해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 예) 효과적인 살인에 대한 연구 (2) 연구대상 및 과정 : 연구대상인 인간을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연구대상에게 신체적‧ 정신적 ‧ 심리적‧물리적 ‧법적 피해를 주는 연구는 피해야 하며, 원칙적으로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참여의 결과 등을 알리고 승낙을 얻어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즉, 고지 된 동의(informed consent)와 자발적 참여에 입각해야 한다. (3) 연구결과 :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 조사대상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고, 자료원(data source)에 대한 비밀보장, 타인의 연구결과에 대한 사용권한(표절의 문제) 등을 지켜야 한다. 2. 사회복지조사 - 사회복지학은 사회복지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다. 사회복지학은 다른 사회과학 분야보다 응용과학 ‧실천과학으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1)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1) 응용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학적인 지식을 사용하며 복잡한 인간체계를 연구하기 위해 개발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응용과학이다. 즉, 종합 - 6 -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multi-disciplinary)이고 학제적인(inter-disciplinary)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실천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은 실제 현장에서 직접 실천되는 실천과학이다. (3)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 사회현상과 인간관계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므로 사회과학의 형태를 따른다. 2)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1) 조사의 정의 - 조사(research)란 : 현상을 파악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절차와 타당한 논리적 원칙에 입각하여 기존의 지식을 기각 또는 강화하거나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려는 실천적인 지식 탐구활동이다. - 조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하더라도 외부로 공개되고 보고되어야 하는 공공성을 갖는다. 따라서 조사과정에 사용된 언어는 명확하고 경험적으로 입증되어야 하며 객관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2) 사회복지조사의 정의 -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와 조사의 합성어이다. 즉, 사회복지를 잘하기 위한 조사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조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학자마다 정의하는 것은 조금씩 다르지만 전미사회사업가협회가 규정한 것을 보면 ‘사회복지는 어려운 사람들(가난한 사람, 취약계층,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고, 안녕한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반활동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 반면 ‘조사’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봄’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는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론을 <만약 A이면, B이다> A: 가설의 선행조건, B: 가설의 결과조건 만약 A가 진실이면 B도 진실이다. <~할수록 ~하다> A할수록 B하다. 예) 청소년이 클래식 듣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성지수가 증가할 것이다. (1) 가설의 작성방법 ① 가설의 평가기준 - 경험적 입증가능성 : 실제 자료를 통해 진위가 입증될 수 있어야 한다. - 이론과의 연관성 : 동일 분야의 다른 이론과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 명료성 : 간단명료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 간결성 : 논리적으로 간결해야 한다. - 계량화 및 수량화 : 가설에 포함된 변수의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 일반화 : 검증결과를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한정성 : 동어 반복적이지 않아야 한다. ② 나쁜 가설의 예 - 정치적 행위는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 <너무나 명백한 가설> - 시험점수가 좋으면 학점이 좋을 것이다. <동어반복> - 얼굴이 잘생기면 미남이다. <동어반복> - 사람은 남자거나 여자다. <너무 명백한 가설> - 공부시간과 성적은 관계가 있다. <특정화가 안됨. 즉, 성적이 어떻다는 말이 들어있지 않음> - 33 - 사회복지조사론 (2) 가설의 표현방식 : 가설은 두 개 이상의 변수들의 관계를 기술하되, 참인지 거짓인지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참인지 거짓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 형태로 기술해야 한다. ① 항상 참인 문장 : 가설이 참일 가능성이 100%인 문장 예) 탄광근로자는 산업재해장애인이거나 산업재해장애인이 아니다 → 동어반복 또는 분석적 문장으로서 가설이 될 수 없다. ② 항상 거짓인 문장 : 논리적으로 거짓인 문장, 참일 가능성이 0%인 문장 예) 장애인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은 법정장애인이면서 또한 법정장애인이 아니다. → 자기모순 또는 모순적 문장으로 가설이 될 수 없다. ③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는 문장 : 0%<가설이 참이 될 확률 < 100%의 문장 예) 산재 요양원에 입원중인 환자는 직업병 환자이다. 사회복지조사론 <서열척도> 3. 질문체계로서의 척도 1)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 리커트 척도는 리커드(R. Likert)와 그의 동료들이 고안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는 다른 이름으로 총합평정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개념을 묻는 질문을 만들 때, 하나의 질문문항(단일차원법)을 만들지 않고 여러 개의 질문문항(다차원법)을 만들어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결혼만족도, 스트레스, 우울, 부모-자녀관계 등과 같은 개념을 알아볼 때 조사자는 그 개념을 대표하는 많은 문항들을 개발할 것이다. 이렇게 여러 개의 질문으로 구성하여 그 개념을 응답 값들의 총합으로 측정하는 것을 리커트 척도라고 한다. 리커트 척도에서 각 문항은 모두 비중이 같은 것으로 가정하고 총합을 단순 합산값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각 문항은 동일한 비중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각각의 문항들 간, 전체를 종합한 것과 개별문항 간에는 높은 관련성이 있어야 좋은 척도라는 것이 리커트 척도의 기본 가정이다. - 47 - 항 목 전혀 아니 다 아니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숟가락을 사용하여 음식을 흘리지 않고 먹는다 ① ② ③ ④ 2) 도와주지 않아도 컵으로 물을 흘리지 않고 마신다 ① ② ③ ④ 3) 낮이나 밤이나 대소변을 혼자서 모두 잘 가린다 ① ② ③ ④ 4) 얼굴을 비누와 수건으로 혼자서 잘 닦고 씻는다 ① ② ③ ④ 5) 혼자서 잘 걷는다 ① ② ③ ④ 사회복지조사론 <시설장애아동의 독립성 척도> 리커트 척도는 일반적으로 응답범주를 좌우균형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식으로 양쪽이 균형을 이루는 척도로 구성한다. 따라서 리커트 척도의 응답범주는 대부분 서열척도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1) 리커트 척도의 장점 ① 사용이 용이하다 ② 일관성이 있어 신뢰도가 높고 단순하다 ③ 평가자의 주관적 개입을 배제할 수 있어 객관적 측정이 가능하다. ④ 정밀성이 높다. 다수의 문항을 사용해 척도를 구성하므로 보다 정밀한 응답을 구할 수 있어 타당도가 높다. (2) 리커트 척도의 단점 ① 서열적 측정치이며 단일차원적이다. ② 문항마다 배점이 동일하기 때문에 가중치를 두지 않는다. ③ 개개문항별로 구분적이지 못하다. 각각의 문항에서 응답자가 표현한 응답자 태도가 구분되어 의미를 갖지 못한다. ④ 전체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선정하기 쉽지 않다. 2) 거트만 척도(Guttman Scale) 거트만 척도는 척도분석(scalogram analysis)이라고도 하며 거트만(L. Guttma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고안되었다. 거트만 척도는 질문문항들의 서열성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질문문항을 개발함에 있어서 리커트 척도처럼 여러개의 문항으로 구성할 때, 문항들 간의 관련성, 즉 내적일관성이 확보되느냐 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것이 바로 ‘타당성’의 문제이다. 이것은 여러 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함으로ㅆ 나타나는 문제로서 거트만과 그의 동료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면서도 마치 한 개의 문항처럼 이해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의 일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거트만식 척도를 구성할 수 있다. - 48 - 사회복지조사론 (1) 일본인과 결혼하여 가족으로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 (예- 5점) (2) 일본인들과 개인적인 친구로서 지낼 의향이 있다. (3) 일본인들과 같은 직장에서 일할 의향이 있다. (4) 일본인들과 같은 동네에서 함께 살 의향이 있다. (예- 4점) (예- 3점) (예- 2점) (5) 일본인들을 한국 방문객으로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 (예- 1점) 위의 예에서 일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5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지만 각각의 질문문항은 가장 강한 것에서부터 가장 약한 것까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번에 긍정적인 응답(예)을 한 경우에는 다음문항들은 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1)번에 부정적이라면 (2)번 질문을 하게 되는데, 만일 긍정적이라면 나머지 질문에 응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렇게 하면 점수는 0점에서부터 5점까지 6구간의 단일점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문항을 사용하지만 마치 한 개의 문항을 사용하는 것 같은 의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난폭운전에 대한 거트만 척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다른 운전자에게 총을 쏜다. (2) 차에서 내려 다른 운전자를 때린다. (3) 차에서 내려 다른 운전자와 언쟁을 한다. (4) 차를 이용해 갑자기 위협적인 자세를 보인다. (5) 주먹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 7점) (예- 6점) (예- 5점) (예- 4점) (예- 3점) (6) 자신의 차 옆을 지나는 운전자에게 소리 내어 욕한다.(예- 2점) (7) 마음 속으로 다른 운전자를 비난한다. (예- 1점) 거트만 척도는 각 집단 간 수용성을 비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앞의 예에서 보면 남자와 여자의 평균값을 비교하면 성별로 누가 더 수용성이 높은지 쉽게 식별된다. 그러나 거트만 척도는 리커트 척도의 결과와 별다른 차이가 없고, 여러 개의 문장을 만들고 문장의 뜻으로 간격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아서 실제 조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 거트만 척도의 장점 ① 예측성이 높다. 모든 질문문항들이 측정대상 속성의 정도에 따라 누적적으로 되어있어 응답의 결과로부터 다른 모든 문항에 대한 응답을 예측할 수 있다. ② 경험적 관측을 토대로 척도가 구성됨으로써 이론적으로 우월하다. ③ 복잡한 계량적 과정 없이 쉽게 서열적으로 척도화 할 수 있다. ④ 단일차원적이다. (2) 거트만 척도의 단점 ① 척도를 구성하는 질문문항의 내용을 강도에 따라 일관성 있게 누적적이 되도록 작성하기가 쉽지 않다. ② 두 개 이상의 변수를 동시에 측정하는 다차원적 척도로서 사용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 49 - 써스톤 척도의 예시 ◆ 배우자 만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부터 가장 덜 중요한 것까지를 순위로 매겨주십시 오. (1단계: 평정자에게 질문) ◆ 배우자에게 가장 만족하는 문항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2단계: 조사대상자에게 질문) 순위 문 항 평정자 순위 평균값 1) 경제적 능력 2.5 2) 사회적 지위 1.2 3) 성격 4.3 4) 학벌 6.2 5) 성적 능력 3.9 6) 가사 참여 3.2 7) 대인 관계 5.5 척도 점수는 한 개를 선택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 항목의 평정자 순위평균값이 되고, 두 개를 선택하도록 한 경우에는 두 항목의 평정자 순위평균값의 평균이 된다. 예를들어, 위의 문항에서 두 개를 선택하라고 하여 조사대상자가 성격과 대인관계를 선택하였다면, 척도점수는 (4.3+5.5)/2=4.9 가 된다. 사회복지조사론 3) 써스톤 척도 써스톤 척도는 유사등간법(equal-appearing- interval)이라고도 하며 써스톤(L. L. Thursto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써스톤 척도도 거트만 척도와 같이 각각의 문항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문항의 비중을 달리하여 척도를 구성한다. 문항들이 동일한 비중의 간격을 갖도록 하기 때문에 유사등간법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즉, 써스톤 척도는 각 문항들의 서열성과 등간성을 전제로 한다. (1) 써스톤 척도를 개발하는 방법 ① 조사하고자 하는 개념을 알아볼 수 있는 질문을 최대한 많이 쓴다. ② 사전 조사로 평정자들로 하여금 설정한 범주에다 문항들을 분류하여 넣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장 비호의적인 것에서부터 가장 호의적인 것까지 혹은 가장 쉬운 것부터 가장 어려운 것까지, 혹은 가장 호의적인 것부터 가장 구체적인 것까지 범주를 설정하고 문항들을 범주에 넣는 것이다.) ③ 각각의 범주의 점수를 기준으로 문항의 평균값과 분산을 구한 다음, 분산이 큰 문항-사람들이 다양하게 범주값을 부여한 문항-을 제외하고, 가장 적합한 문항을 선정하여 평균값을 기준으로 척도점수로 설정한다. 써스톤 척도는 평정자에 따라 문항점수가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같은 척도점수라도 선택한 문항의 수와 종류가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절차가 복잡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실제 조사에서는 거의 사용되는 경우가 없다. (2) 써스톤 척도의 장점 : 유사등간척도로서 등간-비율 척도 수준의 분석이 가능하다. - 50 - 의미차별 척도의 예시 (1) 나는 잠을 잘 못 잔다 ① ② ③ ④ ⑤ 잘 잔다 (2) 나는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 ① ② ③ ④ ⑤ 건강하다 (3) 나는 식욕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왕성하다 (4) 나는 집중을 잘 못한다 ① ② ③ ④ ⑤ 잘한다 (5) 나의 기억력은 나쁘다 ① ② ③ ④ ⑤ 좋다 사회복지조사론 (3) 써스톤 척도의 단점 : 사회과학의 척도들이 엄격한 의미에서 등간-비율 척도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또한 평가자에 의존하기 때문에 여러 평가자의 편의가 개입될 여지가 없다. 4) 의미차별척도(Semantic defferential scale) 의미차별 척도란 두 개의 반대되는 용어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개발된 것이다. 리커트 척도는 응답자로 하여금 특정 입장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도록 요청한다. 그러나 의미차별 척도는 응답자에게 두 개의 반대적 입장 중에서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의미차별척도는 질문항목을 개발한 다음 술어부분에서 반대의미를 가진 술어를 양쪽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서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 선택하도록 하여 제작한다. - 51 - 사회복지조사론 5주차 2차시 설문 구성 1. 설문의 제작 과정 질문문항이 구성되고 응답범주 척도가 결정되면 질문지를 작성한다. 질문지 작성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완성한다. 1) 필요한 정보의 결정 : 필요한 정보들은 조사설계 시 조사를 하는 이유인 가설(hypothesis)에서 얻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성의 취업여부→결혼만족도 의 조사모형에 따라 가설을 ‘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라 결혼만족도가 차이가 날 것이다.’라고 설정하였다면 필요한 정보는 <여성의 취업여부, 결혼만족도, 조사대상자의 특성>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필요한 정보에 대해 알아야 할 수준을 세부적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조사대상자 특성의 정보는 보다 세부적으로 나이, 성별, 학력 등으로 구체화시켜서 정보를 얻어야 한다. 2) 자료수집 방법 결정 : 조사방법에 따라 문항 수 및 질문의 형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조사설계에서 계획된 자료수집방법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우편조사는 가장 많은 문항을 질문할 수 있고, 민감한 내용도 다룰 수 있다. 반면에 전화조사의 경우에는 적은 문항만을 조사할 수 있고, 전화를 통해서 문항과 응답범주를 읽어주는 방식으로 조사를 하기 때문에 질문내용이 복잡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직접 면접조사는 중간정도의 질문문항을 다룰 수 있으며 조사자가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복잡한 질문을 사용할 수 있다. 3) 개별항목의 내용결정 : 개별항목의 내용을 결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1) 꼭 필요한 내용인가? : 일반적으로 조사를 기획하게 되면 많은 것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나중에 필요하게 될 지도 모르니 조사를 해 놓으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그러나 조사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지도 않은 내용을 조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대부분의 조사에 있어서 이후에 또다시 분석하여 활용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2) 응답자가 필요한 정보를 알고 있는가? : 예를 들어 ‘교사의 업무가 과다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일반인들에게 하면 교사의 업무상황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대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측이나 편견을 토대로 대답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3) 응답자가 그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가? : 예를 들어 ‘지난 1년 동안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해 묻는다면 응답자가 충분히 숙지하지 못해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없거나 혹은 밝히기 싫은 내용이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해주지 않을 수 있다. (4) 한 문항으로 충분한가? : 예를 들어 ‘본드를 흡입했을 때 기분은 어땠습니까?’라는 질문을 한다고 가정해보면 본드를 흡입한 경험이 없는 사람은 답변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본드를 흡입해본 적이 있는가?’ ‘있다면 그 때 기분은 어땠습니까?’와 같이 두 개의 질문으로 나누어서 질문하는 것이 적절하다. - 52 - 상호배타성의 예 1 ‘귀하께서 현금서비스를 받으신 돈을 주로 어느 용도에 쓰고 계십니까?’ ① 생활비 ② 교육비 ③ 의료비 ④ 신용카드 대금결제 ⑤ 부채청산 ⑥ 기타 → ⑤번 부채청산에는 ④번의 신용카드대금 결제가 포함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응답자들은 혼란을 겪을 것이다. 사회복지조사론 4) 질문/응답형태의 결정 : 개별항목이 결정되면 질문 혹은 응답형태를 결정해야 한다. 개방형으로 할 것인가 혹은 다지선다형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양자택일형으로 할 것인가 이다. 일반적으로 개방형으로 하면(특히 비율척도로 구성할 때는 개방형으로 하여야 함)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응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어서 모든 표본대상자에게 응답을 못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사자는 보다 많은 혹은 깊이 있는 정보가 필요한가 혹은 보다 많은 표본대상자에게 응답을 받는 것이 필요한가를 결정해야 한다. 다지선다형으로 할 때는 응답범주의 상호배타성과 포괄성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5) 개별항목의 완성 : 개별항목의 내용과 질문/응답형태가 결정되면 질문문항을 구성하기 위한 마지막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질문문항 구성의 원칙이 지켜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질문문항의 구성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가능한 쉽고 의미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단어를 이용한다. 질문문항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정도라면 이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질문문항이 구성되면 조사자는 질문문항이 쉽게 이해되는지를 조사대상자로 생각하고 있는 집단의 사람에게 사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다지 선다 형 응답에 있어서는 가능한 응답을 모두 제시해주어야 한다. 이것을 포괄성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환경오염에 대한 1차적 책임은 개인, 기업, 정부 중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을 하였다면 응답범주를 개인, 기업, 정부 세 가지로 구성하기 쉬운데 이러한 경우 아래와 같이 8가지로 제시해 주어야 한다.
번호 | 분류 | 제목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 |
1320 | 2023.02.26 | |
공지 |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 4663 | 2025.03.19 | |
공지 |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 25849 | 2024.11.04 | |
공지 |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 20432 | 2025.01.21 | |
3418 | 잡담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본교안 | 480 | 2020.07.13 |
3417 | 잡담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본교안 | 125 | 2020.07.13 |
3416 | 잡담 | 사회복지정책론 기본교안 | 65 | 2020.07.13 |
» | 잡담 | 사회복지조사론 기본교안 | 123 | 2020.07.13 |
3414 | 잡담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기본교안 | 143 | 2020.07.13 |
3413 | 잡담 | 지역사회복지론 기본교안 | 92 | 2020.07.13 |
3412 | 잡담 | 학점은행제로 물리치료학과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있는데 | 55 | 2020.07.14 |
3411 | 잡담 | 학점은행제로 물리치료학과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있는데 | 56 | 2020.07.14 |
3410 | 잡담 | 학점은행제로 물리치료학과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있는데 | 64 | 2020.07.14 |
3409 | 잡담 | 사회복지학 학교사회사업론 이론 | 212 | 2020.07.15 |
3408 | 잡담 | 사회복지사 아동복지론 이론 | 223 | 2020.07.15 |
3407 | 잡담 | 사회복지사 학교사회사업론 이론 | 100 | 2020.07.15 |
3406 | 잡담 | 사회복지사 사회복지법제 이론 | 63 | 2020.07.15 |
3405 | 잡담 | 사회복지사 청소년복지 이론 | 140 | 2020.07.15 |
3404 | 잡담 | 이거 밑줄 안쳐져있다면 중복되도 학점인정된단뜻? 3 | 40 | 2020.07.16 |
3403 | 잡담 | 이거 밑줄 안쳐져있다면 중복되도 학점인정된단뜻? 3 | 36 | 2020.07.16 |
3402 | 잡담 | 이거 밑줄 안쳐져있다면 중복되도 학점인정된단뜻? 3 | 39 | 2020.07.16 |
3401 | 잡담 | 학점은행제 수강신청 3 | 85 | 2020.07.16 |
3400 | 잡담 | 학점은행제 수강신청 3 | 78 | 2020.07.16 |
3399 | 잡담 | 학점은행제 수강신청 3 | 91 | 2020.07.16 |
3398 | 잡담 | 매경 시사문제 어떡함? 1 | 39 | 2020.07.16 |
3397 | 잡담 | 매경 시사문제 어떡함? 1 | 37 | 2020.07.16 |
3396 | 잡담 | 매경 시사문제 어떡함? 1 | 41 | 2020.07.16 |
3395 | 잡담 | 네트워크1 컴퓨터네트워크 중복과목 질문 (오피셜) 1 | 61 | 2020.07.16 |
3394 | 잡담 | 네트워크1 컴퓨터네트워크 중복과목 질문 (오피셜) 1 | 55 | 2020.07.16 |
3393 | 잡담 | 네트워크1 컴퓨터네트워크 중복과목 질문 (오피셜) 1 | 55 | 2020.07.16 |
3392 | 잡담 | 대중퇴 산업기사관련 질문 1 | 59 | 2020.07.16 |
3391 | 잡담 | 대중퇴 산업기사관련 질문 1 | 54 | 2020.07.16 |
3390 | 잡담 | 대중퇴 산업기사관련 질문 1 | 70 | 2020.07.16 |
3389 | 잡담 | 낼 소방 시험보는 사람 1 | 28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