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23 추천 수 0 댓글 0

아동복지론

아동복지론

-----------------------------------------------------Page 1-----------------------------------------------------

아동복지론

- 아동복지론 목차 -

1주차 1차시      아동복지와 사회복지                               1 1주차 2차시      아동복지의 이념과 가치                            6

2주차 1차시      아동발달이론(1)                                  12 2주차 2차시      아동발달이론(2)                                  29

3주차 1차시      아동의 권리와 아동복지                            39 3주차 2차시      한국과 유엔의 아동 인권 개념                       43

4주차 1차시      아동복지 발달사 (1) 외국의 아동복지                 46 4주차 2차시      아동복지 발달사 (2)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50

5주차 1차시      아동복지 관련 법률 및 정책                         54 5주차 2차시      아동복지행정 및 전달체계                          62

6주차 1차시      아동복지와 아동복지서비스                          66 6주차 2차시      아동복지서비스의 기본요소 및 실천원칙, 유형           72

7주차 1차시      아동복지의 사회복지실천과 기술(1)                   78 7주차 2차시      아동복지의 사회복지실천과 기술(2)                   88

8주차           중간고사

-----------------------------------------------------Page 2-----------------------------------------------------

아동복지론

9주차 1차시      아동복지정책                                     91 9주차 2차시      아동보육                                        96

10주차 1차시     장애아동 및 중독아동                              102 10주차 2차시     위기 다양성과 지역사회보호 (1)                      108

11주차 1차시     위기 다양성과 지역사회보호 (2)                      120 11주차 2차시     위기 다양성과 지역사회보호 (3)                      125

12주차 1차시     아동학대 및 아동보호                              129 12주차 2차시     가정보호                                        136

13주차 1차시     시설보호                                        141 13주차 2차시     소년사법                                        144

14주차 1차시     아동복지의 과제                                  150 14주차 2차시     아동복지의 전망                                  154

15주차          기말고사

-----------------------------------------------------Page 3-----------------------------------------------------

아동복지론

1주차 1차시 아동복지와 사회복지

Ⅰ. 아동복지의 개념과 특성

1. 아동복지의 필요성

1)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사회 도래

• 사회적 환경과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결혼연령의 증가, 자녀 출산의 기피 현상 증가 • 소득 및 고용의 불안정 야기, 일과 가정의 양립 위기, 자녀 양육비 증가 등의 복합적 요인

2) 여성 취업의 증가

• 여성의 취업과 사회진출의 증가는 우리 사회의 불가피한 현상

• 가정에서 어머니의 빈자리는 아동양육과 야동발달상에 심각한 결함을 가져오기도 함 • 여성의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사회환경의 제도와 정책적 실현이 필요

• 산전후휴가급여, 육아휴직제도, 여성의 출산과 육아기 이후 노동시장 복귀 지원 등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정책 정착이 필요

3) 핵가족화

• 산업화의 진전에 의해 토지 중심의 대가족 생활양식이 부모-자녀 중심의 핵가족으로 변화 • 가족 내 육아기능의 구조 변화 : 자녀 수 감소로 형제 내 정서유대 관계 약화, 조부모와 친척기능

의 약화로 돌봄 기능의 약화 등

4) 이혼과 가족해체 등 다양한 가족형태 출현

• 부모의 이혼 등으로 인한 아동양육의 책임과 역할 모호, 아동 자녀의 불안, 갈등, 분노, 상실감 등

정신적인 고통과 생활상의 어려움을 야기

•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동거가족, 다문화가족 등이 출현

• 건강가족기본법 : 혼인, 혈연, 입양에 의한 공동체만을 가족으로 규정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가족의 유형에 대해 ‘비건강 가족’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야기

•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위한 아동보호의 예방적 체계구축과 아동양육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

- 1 -

-----------------------------------------------------Page 4-----------------------------------------------------

아동복지론

2. 아동의 개념

1) 연령 구분

법령                           개념                     연령

유엔아동

아동복지법 입양특례법

한부모가족지원법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청소년기본법 청소년보호법

민법

영유아보육법

소년법

아동 아동 아동 아동

아동 등

청소년 청소년 미성년 영유아

소년

18세미만 18세미만 18세미만 18세미만 18세미만

9세 이상 24세 이하

19세 미만 19세 미만

6세 미만

19세 미만

3. 아동의 욕구 1) 아동의 특성

아동은 온전한 인간으로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인격체이다

(1) 의존성 : 아동의 중요한 특성, 아동은 생명의 유지와 신체적, 지적, 사회적 발달을 위하여 부모를

비롯한 보호자의 사랑과 관심에 의존함

(2) 성숙 : 미성숙한 단계에서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 아동의 발달단계와 능력에 적절한 기대

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

(3) 욕구 : 아동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인간 본능의 생리적 욕구인 식욕, 갈증, 호흡, 수면, 휴식,

배설, 고통회피 등과 같은 욕구를 충족해야 함

(4) 민감성 : 아동은 감정이 매우 예민하고 욕구, 열망에 대한 만족을 즉각적으로 얻기 원하며, 느긋

하게 참고 기다릴 줄을 모름

(5) 적응성 : 아동은 환경과의 관계에서 적응하는 특성을 지님

2) 아동의 욕구

• 아동의 욕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아동복지의 가장 필수적인 요건 • 아동발달단계의 욕구 : 유아기, 아동중기, 사춘기를 발달하며 변화함 • 부모의 양육능력(parenting capacity) : 아동의 욕구에 반응하는 데 필요

(1) 기본적 돌봄 능력 (2) 안전의 보장

(3) 정서적 따뜻함 (4) 자극 (5) 지도

(6) 안정성

- 2 -

-----------------------------------------------------Page 5-----------------------------------------------------

아동복지론

Ⅱ. 아동복지와 사회복지 관련성

1.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복지란 아동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 그리고 민간단체의 다양한 노력인 법률, 정

책, 행정, 전달체계에 의한 전문가인 사회복지사에 의해 제공되는 구체적인 서비스를 의미

1) 미국아동복지연맹

• 아동복지는 부모가 양육의 책임을 다할 수 없거나 지역사회가 아동과 그 가족이 요구하는 자원 및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아동에게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협의적 의미를 강조 : 아동복지서비스는 부모가 할 수 없는 기능을 보강, 보충 또는 대체하며, 기 존의 사회제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제도로서 아동과 그 상태를 개량하도록 설계하는 영역을 강조

(1) 좁은 의미의 아동복지(잔여적 개념)

•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의 아동복지란 보호를 요하는 아동을 중심으로 한 복지활동을 말하되, 비

교적 개인이나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말한다.

(2) 넓은 의미의 아동복지(제도적 개념)

• 넓은 의미의 아동복지란 일반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다양한 복지 주체들이 서로 유기적 인 관련 하에 체계적으로 복지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일반 아동이란 보호가 필 요한 아동에 대응되는 대상이나, 실제적으로는 보호를 요하는 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이란 의 미로 사용되고 있다.

• 아동복지의 대상에 아동의 가족이 포함되는 것은 아동복지의 일차적인 책임은 가족에게 있으 며, 최선의 아동복지는 국가가 아동양육에 대한 가족의 기능을 강화해 주는 것이라는 입장에 근 거하고 있다.

• Kadushin(1984) : 아동복지란? 모든 아동의 행복과 사회적응을 위해 심리적, 사회적 및 타고

난 잠재 능력을 길러 주는 각종의 활동을 ‘아동복지’로 정의함

• Costin(1981) : 아동복지란? 가족생활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서 아동과 그 가

정의 안녕을 위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 오늘날에는 대부분 광의의 정의를 취하고 있는바, 아동복지란 “보호를 요하는 상태에 있는 아 동은 물론 모든 아동이 가족 및 사회의 일원으로 건강하고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개인, 민 간 및 국가가 서로 협력하여 벌이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아동복지법

(1) 제2조 기본이념:

➀ 아동은 자신 또는 부모의 성별, 연령, 종교, 사회적 신분, 재산, 장애유무, 출생지역, 인종 등

에 따른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받지 아니하고 자라나야 한다.

② 아동은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라나야 한다. ③ 아동에 관한 모든 활동에 있어서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④ 아동은 아동의 권리보장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이 법에 따른 보호와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

다.

- 3 -

-----------------------------------------------------Page 6-----------------------------------------------------

아동복지론

(2) 제3조 정의:

1. "아동"이란 18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2. "아동복지"란 아동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하고 조화롭게 성장ㆍ발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제적ㆍ사회적ㆍ정서적 지원을 말한다.

3) 아동복지 개념의 확대

• 아동복지 개념은 ‘잔여적 개념’에서 ‘보편적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

• 기존의 아동복지 개념 : 사회적 약자인 빈곤자, 아동, 빈곤 한부모가정의 아동, 장애아동 등을 대상 으로, 이들이 일반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제, 보호, 예방, 회복 등의 정책 및 방법체계에 국 한됨 -> “자본주의의 재생산기구로부터 탈락한 경제 질서 외적 존재”

• 현재의 아동복지 개념 : 자본주의의 발달,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사회구조, 역사적 ․ 경제적 ․ 사회적 조 건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국민생활의 변화 및 구제, 원조의 기본 구조와 국민의식의 변화 등에 따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음

-> “정상적인 일반 생활수준에서부터 탈락되었거나 그렇게 될 위험이 있는 자”

▣ Wilensky와 Lebeaux(1958)는 ‘보충적(residual) 사회복지’를 “진전하는 산업화에 따라 근본적인 사 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봄으로써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사회 및 가족구조의 변동과 가치 의식의 변화 등을 배경으로 사회복지는 ‘제도적인 (institutional) 사회복지’로 이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4) 아동복지의 학문적 배경

▣ 아동복지의 학문적 배경을 살펴보는 것은 아동복지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임

• 아동복지는 노인복지, 여성복지, 장애인복지 등과 같이 대상자를 기준으로 분류한 사회복지의 한

영역임

• 사회복지학은 실천학문으로 연관한 학문은 사회학, 문화인류학, 법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등의 인접 학문에 근거하여 발달해 왔다. 이 중에서도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은 초기 사회복지학의 체계를 성립시키는 데 기여한 바가 컸다. 특히 오늘날에 있어서는 아동문제를 포함한 사회문제의 발생과 대책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 강조되고 있어 정치학, 경제학, 법학 등의 이론적 배경이 사회복지 및 아동복지의 실천에 적용되고 있다.

(1) 사회학:인간의 사회적 공동생활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사회학의 이론적 체계 중에서

문화, 사회화, 사회계층, 사회이동, 사회통제 등의 개념은 아동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에 관한 사회적 힘의 근원을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 그 예로 사회계층과 범죄아동의 발생 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2) 법학:인간의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공익을 보장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하는 사회과

학의 한 분야로, 법학의 이론적 체계 중에서 특히 아동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정책 실현 은 관계 법률의 입법제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와 같이 여러 사회 적 질서를 법에 의존하는 나라에서는 법적 뒷받침은 강력한 힘을 갖는다. 그 예로 입양을 성립시키기 위한 요건의 규정을 위한 연구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최저 고용 연령이 나 형사상의 면책특권을 가지는 아동 연령의 설정 등을 들 수 있다.

- 4 -

-----------------------------------------------------Page 7-----------------------------------------------------

아동복지론

(3) 문화인류학:인간의 사회생활과 문화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역사적 관점에서 인류의

역사와 현재의 생활을 대상으로 문화의 생성과 변이를 탐구하는 과학이다. 문화인 류학의 이론적 체계 중에서 특히 문화의 개념은 아동을 포함한 사회구성원의 사회 적 적응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아동발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문화 적 차이에 의한 사회적 행동의 이해와 수용은 아동복지 종사자와 대상 아동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해 주는 주요 동인이 된다. 그 예로 문화권에 따른 아동학대의 현상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4) 정치학:인간의 정치 현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정치학의 이론적 체계 중에서 특히

정치이념의 유형은 아동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에서 국가 차원적의 서비스 수준을 결정 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정치활동의 하나로 복지정책의 결정 과정과 분석은 공공복지 의 실행에 영향을 주는 이익집단의 역동성에 대한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5) 경제학:인간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사회적 질서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정치학과 밀접

한 관련을 갖는다. 경제학의 이론적 체계 중에서 특히 고용, 임금, 소득의 분배와 조세 의 개념은 아동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정책에서 비중 있게 취급된다. 즉, 기본적 생활의 보장과 관련된 완전고용, 최저임금의 보장, 공공부조와 사회보험 및 복지사업을 실시하 는 기관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조세 감면 등은 아동복지실천에서도 구체화된다. 그 예 로 아동을 둔 빈곤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빈곤선(poverty line)의 설정을 들 수 있다. 최 근에 들어서는 경제학의 목표가 사회 전체의 경제적 안정의 극대화에 있다는 관점에서 후생경제학(welfare economics)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후생경제학에서는 국민생활수 준의 측정, 최적 공공 가격의 설정, 경제활동에서 편익과 공평성의 보장을 위한 과제들 이 연구되고 있다.

(6) 심리학:생물체의 의식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심리학의 이론적 체계 중에서 자극-반응, 학

습, 정신분석, 모방 등의 개념은 아동과 부모를 위한 상담과 치료 등에 유용하게 활용된 다. 뿐만 아니라 낙인(stigma) 및 일탈(deviation) 심리의 연구 등은 복지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특히 아동발달심리학의 연구 성과는 아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도하는 데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다.

- 5 -

-----------------------------------------------------Page 8-----------------------------------------------------

아동복지론

1주차 2차시 아동복지의 이념과 가치

Ⅰ. 아동복지의 이념

1. 아동복지의 발달배경 ① 인본주의 이념의 발전 ② 경제적 발전

③ 가족과 이웃의 기능 쇠퇴와 사회제도의 전문화 요구 ④ 아동기가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구분됨

⑤ 사회 내에서 가족과 아동이 차지하는 지위가 향상됨 ⑥ 사회가 저출산과 고령화로 변해감

⑦ 과학적 지식의 진보는 아동복지 학문과 전문직을 탄생시킴 ⑧ 아동의 법적 지위가 향상됨

2. 아동복지의 원칙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 아동을 위한 건전한 육성 대책, 아동과 부모 및 사회의 세 주체 간의 권리와 책임에 기반을 둠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 보편성 :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급여나 서비스를 동일한 수준에서 제공함

• 선별성 : 아동에 대한 복지를 추구하는 데 조건과 기준을 정해 아동복지의 대상과 사업을 제한한다

는 원칙

3) 예방성과 치료성의 원칙

• 아동기에 대한 상처는 일생에 영향을 미치기에 아동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해야 함 • 문제 발생 시 실시되는 신속한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를 통해 개입

4) 개발성의 원칙

• 아동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아동의 사회적 자립과 사회적 기여 창출을 유도 • 장애아동, 빈곤가정 아동 등에 대한 선별적 지원이 요구됨

5) 포괄성의 원칙

• 아동은 하나의 인격과 삶을 지닌 인간으로서 모든 측면이 상호 보완되는 가운데, 건강한 성장과 발

달을 도모함

• 건강한 가정생활, 경제적 안정, 교육, 보건, 노동, 오락 및 특수보호 등에 대한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포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6) 전문성의 원칙

• 현대사회에서 아동과 그 가정의 문제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나므로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

을 추구하기 위해 전문적인 분석과 접근이 필요함

- 6 -

-----------------------------------------------------Page 9-----------------------------------------------------

아동복지론

3. 이념의 정의

1) 루소, 프뢰벨 : 아동은 성인의 축소물이 아니라 성인과 다른 존재로서 나름의 독자적인 발달 과정을

지니고 아동발달에 맞는 교육을 받아야 함

2) 미국 : 1909년 루스벨트 대통령에 의해 소집된 제1차 백악관 회의 아동보호에 관한 이념 정립이 시

3) 독일 : 1922년 아동법을 제정 - 독일 아동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양육을 받을 권리를 지닌다고

규정하고 아동의 복지권을 보장함

4) UN

• 1924년 아동권리에 관한 제네바 선언 • 1959년 아동권리선언

• 1989년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5) 우리나라

(1) 헌법

• 제10조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

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 제11조 ①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

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② 사회적 특수계급의 제도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어떠한 형태로도 이를 창설할 수 없

다.

• 제34조 ①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② 국가는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③ 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④ 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

⑤ 신체장애자 및 질병·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

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⑥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 모든 국민이 행복을 추구할 권리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지고 있음이 헌법에 명시

(2) 아동복지법

• 제1조(목적) 이 법은 아동이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아동의 복

지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조(기본 이념)

① 아동은 자신 또는 부모의 성별, 연령, 종교, 사회적 신분, 재산, 장애유무, 출생지역, 인종 등에

따른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받지 아니하고 자라나야 한다.

② 아동은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라나야 한다. ③ 아동에 관한 모든 활동에 있어서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7 -

-----------------------------------------------------Page 10-----------------------------------------------------

아동복지론

④ 아동은 아동의 권리보장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이 법에 따른 보호와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

다.

=> 헌법의 이념을 보다 더 구체화하여 아동의 기본적 욕구를 최대한 보장하고 아동의 기본 잠 재력을 최대한 발휘시키며,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아동의 기본권을 보장하 는 것이 아동복지의 기본 이념임을 명시함

(3) 대한민국 어린이헌장 ➀ 1923년 5월 1일 제정 ② 1957년 5월 5일에 선포

어린이는 나라와 겨레의 앞날을 이어나갈 새 사람이므로 그들의 몸과 마음을 귀히 여겨 옳고 아름답고 씩씩하게 자라도록 힘써야 한다.

1. 어린이는 인간으로서 존중하여야 하며 사회의 한 사람으로서 올바르게 키워야 한다. 2. 어린이는 튼튼하게 낳아 가정과 사회에서 참된 애정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3. 어린이에게는 마음껏 놀고 공부할 수 있는 시설과 환경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4. 어린이는 공부나 일이 몸과 마음에 짐이 되지 않아야 한다. 5. 어린이는 위험한 때 맨 먼저 구출하여야 한다.

6. 어린이는 어떠한 경우에라도 악용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7. 굶주린 어린이는 먹여야 한다. 병든 어린이는 치료해주어야 하고, 신체와 정신에 결함이 있는 어린이는 도와주어야 한다. 불량아는 교화하여야 하고 고아나 부량아는 구호하여야 한다. 8. 어린이는 자연과 예술을 사랑하고 과학을 탐구하며 도의를 존중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9. 어린이는 좋은 국민으로서 인류의 자유와 평화와 문화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키워야 한다.

③ 1988년 11개 조항으로 개정

• 모든 어린이가 차별 없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니고 겨레의 앞날을 이러 나갈 새 사

람으로 존중되며 바르고 아름답고 씩씩하게 자라도록 함을 지표로 삼음

• 건강한 사회인으로 육성하고 위험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보호를 받으며 학대와 착취로부터

탈피시켜야 함을 명시함

- 8 -

-----------------------------------------------------Page 11-----------------------------------------------------

아동복지론

대한민국 어린이헌장은 어린이날의 참뜻을 바탕으로 하여 모든 어린이가 차별 없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 을 지니고 나라의 앞날을 이어나갈 새 사람으로 존중되며 아름답고 씩씩하게 자라도록 함을 길잡이로 삼 는다.

1. 어린이는 건전하게 태어나 따뜻한 가정에서 사랑 속에 자라야 한다.

2. 어린이는 고른 영양을 취하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받으며, 맑고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야 한다. 3. 어린이는 좋은 교육시설에서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따라 교육을 받아야 한다.

4. 어린이는 빛나는 우리 문화를 이어받아, 새롭게 창조하고 널리 펴나가는 힘을 길러야 한다. 5. 어린이는 즐겁고 유익한 놀이와 오락을 위한 시설과 공간을 제공받아야 한다.

6. 어린이는 예의와 질서를 지키며, 한겨레로서 서로 돕고, 스스로를 이기며 책임을 다하는

민주 시민으로 자라야 한다.

7. 어린이는 자연과 예술을 사랑하고 과학을 탐구하는 마음과 태도를 길러야 한다. 8. 어린이는 해로운 사회환경과 위험으로부터 먼저 보호되어야 한다.

9. 어린이는 학대를 받거나 버림을 당해서는 안 되고, 나쁜 일과 힘겨운 노동에 이용되지 말아야 한다. 10. 몸이나 마음에 장애를 가진 어린이는 필요한 교육과 치료를 받아야 하고, 빗나간 어린이는

선도되어야 한다.

11.어린이는 우리의 내일이며 소망이다. 나라의 앞날을 짊어질 한국인으로, 인류의 평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세계인으로 자라야 한다.

Ⅱ. 아동복지의 가치

1. 아동의 기본적 생활보장

• 인간은 독립적이고 성숙한 존재가 되기 위해 타인의 보호와 육성을 필요로 하는 존재이며, 출생부터 2 세 정도까지는 기본적인 음식섭취와 배설물의 통제를 혼자서 할 수 없으며 타인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해 야 생존할 수 있다.

• 아동은 서서히 발달과정을 통해 부분적인 의존생활을 하지만 완전히 독립적인 활동에는 제한적이다. • 산업사회 이전의 전통적 사회에서는 가족구성원이 많은 상황이기에 아동에 대한 보호와 양육이 가족 내에서 해결이 어느 정도 가능했으나, 현대 산업사회로의 이전은 아동양육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 다.

• 가정 내 케어인력의 축소, 가족구조와 가치관의 변화 등은 국가와 사회가 아동복지에 대한 기능을 가

족과 공동으로 책임져야 하는 중요성을 제기하게 된다.

• 아동이 소속된 가정환경이 건강하게 유지, 발전될 수 있도록 국가는 기본적인 보호와 양육을 보장하는

다양한 사회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2. 미래 인력의 보호와 육성

• 아동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선도할 중요한 인적 자원이기에 아동을 적절하게 보호하고 교육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 아동이 건강한 발달과 전문적인 지식교육을 습득하고 건강하고 바른 인격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은

미래 인력을 위한 투자라고 인식해야 한다.

• 만약 아동이 경제적 결핍과 문화적 기회 박탈 등으로 불이익을 받거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이룰 수

없다면 우리사회의 미래는 매우 암담할 것이다.

- 9 -

-----------------------------------------------------Page 12-----------------------------------------------------

아동복지론

• 우리나라의 위스타트(We Start)와 드림스타트(Dream Start)를 통해 빈곤의 악순환을 근절시켜 아동의

건전한 발달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 위스타트

• 2004년 5월 중앙일보, 사회공동모금회, 한국복지재단(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등 언론사와 여러 시민 단체들이 모여 위스타트 운동본부를 발족하였다. 가장 기본 사업은 위스타트 마을 사업으로 위스타 트 마을 센터가 중심이 돼 자원봉사자, 지방자치단체와 사회복지관, 학교, 사회단체, 기업, 보건소, 병원, 약국 등과 주민이 힘을 합해 아동복지 네트워크를 구성해 12세 이하 빈곤 아동들을 돕고 있 다.

• 기본 사업인 위스타트 마을 사업을 펼치기 위한 시범마을인 '위스타트 마을 만들기'와 방과후 교실 을 활성화하고 무료교육을 실시해 뒤처진 공부를 보충하는 한편 사랑의 책보내기 운동 등을 펼쳐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출발선 만들기', 무료 건강검진과 예방접종, 치료도 해주는 '건 강지킴이', 후견인을 찾아 맺어주는 '후견인 맺기', 방과후 갈 곳이 없거나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 는 아이들에게 쉬거나 배우는 공간을 제공하는 '희망의 집 꾸미기' 등을 5대 사업으로 펼치고 있다.

• T 2004년 – 시범마을 운영 : 경기도 시범마을 시작

T 2007년 – 4개 시/도 확대 : 4개 시/도 위스타트 마을 운영, 위스타트 모델 국가 정책으로 채택 T 2010년 – 다문화/해외 사업으로 확대 : 글로벌아동센터 개소(다문화 아동, 가족대상), 해외센터

개소

T 2012년 – 청소년으로의 대상 확대 : 청소년배움누리 센터를 시작으로 청소년으로 대상 확대

(0-만 18세)

T 2014년 –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T 2015년 – 인성교육 스타트 : 위스타트 폴리텍다솜 인성센터 개소 T 2016년 – 위스타트 평택인성센터 개소

T 2017년 – 인성교육 확대 : 전국 10개 지역아동센터 인성교육 시작

▣ 드림스타트

• 법적근거:

아동복지법 제37조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통합서비스지원)

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아동의 성장 및 복지 여건이 취약한 가정을 선정하여 그 가정의 지원대상아동과 가 족을 대상으로 보건, 복지, 보호, 교육, 치료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서비스를 실시한 다.

② 제1항에 따른 통합서비스지원의 대상 선정, 통합서비스의 내용 및 수행기관·수행인력 등에 필

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통합서비스지원사업의 운영지원에 관한 업무를 법인, 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37조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통합서비스지원)

① 보건복지부장관,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법 제37조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에 해당하 는 가정 중에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아동의 발달수준 및 양육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기준에 따라 통합서비스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 10 -

-----------------------------------------------------Page 13-----------------------------------------------------

아동복지론

1.「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가정

2.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아동의 성장 및 복지 여건이 취약한 가정

② 법 제37조제1항에 따른 통합서비스의 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건강검진 및 질병예방교육 등 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 2. 아동의 기초학습 및 사회성·정서 발달 교육 지원 3. 부모의 양육 지도

4. 그 밖에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

③ 보건복지부장관,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법 제37조제2항에 따라 통합서비스지원 업무 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서비스지원기관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이 경우 통합서비스지원기관에 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무원과 민간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야 한다.

• 추진배경 : 가족해체, 사회양극화 등에 따라 아동빈곤 문제의 심각성 대두, 빈곤 아동에 대한 사회

투자 가치의 중요성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3. 사회문제 예방

• 아동기에는 욕구의 좌절과 빈곤에 따른 물리적 박탈감, 문화적 결핍에 의한 정서불안과 신체적 이상,

비행, 폭력 등의 다양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 아동은 성인과 같은 기본적인 생리적인 욕구와 문화적 욕구가 있지만, 스스로 이러한 욕구를 자립적으 로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가정과 사회에서 아동의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키기 위한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는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 경제적인 양극화가 심화되므로 빈곤층의 가족 해체현상이 매우 심

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아동이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부적절한 가정과 사회 환경에 의해 자신의 잠재력을 발달시킬 기회가 기 본적으로 박탈당할 위험에 처할 수 있기에 아동의 건강한 가족과 사회 환경의 조성은 국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수적이다.

- 11 -

-----------------------------------------------------Page 14-----------------------------------------------------

아동복지론

2주차 1차시 아동발달이론(1)

Ⅰ. 정신분석이론

1. 프로이드 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 인간은 자유의지가 아닌 무의식적 본능에 의해 지배를 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 • 인간의 정신(Psyche) : 의식, 전의식, 의식으로 구성 • 무의식이 모든 인간의 에너지의 원천으로 강조함

• 에너지의 역동은 ‘생의 충동(life drive’)과 ‘죽음 충동(death drive)’으로 유발된다고 믿음

1) 생의 충동 : 리비도(Libido)

(1) 생명을 유지, 보존하여 종족을 이어 가고자 하는 충동의 대부분은 성적 에너지에 의해 좌우됨 (2) 인간의 본능은 긴장을 줄이고 쾌감을 추구하는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에 의해 행동하게 됨 (3) 성 충동의 표출은 의식의 현실세계에서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무의식의 세계로 억압되고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2) 죽음 충동

(1) 프로이드의 저서 : 쾌락 원칙을 넘어서(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 인간의 성격과 행동은 생의 충동 뿐 만 아니라 죽음 충동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

(2) 죽음 충동은 아무런 긴장도 없는 열반 상태를 향한 충동으로 현실세계에서는 공격성, 파괴성의 형

태로 나타남

3) 정신결정론

(1)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기본적 원리는 정신결정론으로 신체와 마찬가지로 정신도 우연히 되는 대로 일어나는 것은 없으며 우연히 일어난 것처럼 보일지라도 과거의 일과 반드시 연결되어 발생 예) 운전 중 잠시 한눈을 팔다가 파란 신호등에 멈춰 있는 것은 운전자가 목적지에 가고 싶지 않

은 무의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임

2. 주요개념

1) 정신의 ‘지형학적’ 구분

• 프로이드는 인간의 보이지 않는 정신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개념으로

설명

• 빙산(Iceberg)의 개념으로 비유 : 우리가 볼 수 있는 빙산은 거대한 실체의 일부이듯 인간의 의식 은 우리 정신세계의 극히 일부이며,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의 거대한 부분이 인간 내면의 깊은 곳에 있다고 주장

(1) 의식(conscious)

➀ 현재 인간이 감지하고 느끼는 모든 것을 의미하고 외부 세계와 직접 맞닿아 있는 영역 ② 인간은 외부 세계의 모든 것을 의식하진 못하며, 우리가 의식하는 것은 지극히 일부인 빙산의

일각이라고 표현

- 12 -

-----------------------------------------------------Page 15-----------------------------------------------------

아동복지론

(2) 전의식(preconscious)

➀ 지금 현재 의식되지는 않지만 기억해내거나 조금만 노력을 하면 비교적 쉽게 의식될 수 있는

영역

(3) 무의식(unconscious)

➀ 의식된 현실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충동이나 욕구, 고통스러운 기억과 감정을 의식 아래로

억압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

②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서 자리해서 개인의 노력으로 의식화할 수 없으며, 리비도 같은 정신

에너지의 원천으로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는 원동력이 됨

③ 무의식의 예> 말실수, 망각, 꿈

④ 무의식을 통한 정신분석 기법 : 최면, 자유연상, 꿈의 해석

2) 정신의 ‘구조적’ 구분

(1) 원초아(id)

➀ 원초아는 완전히 무의식적, 충동적, 유아적인 것에 의존

② 일차적 사고과정 : 일시적인 만족을 줄 수 있지만 근본적인 긴장은 감소시킬 수 없음

예> 목이 마를 때 물을 마시는 상상이나 꿈을 꾸는 것

③ 쾌락원칙 : 고통은 최소화하고 쾌락을 최대화하려는 속성으로 참을성 없이 즉각적인 만족을

구하고자 하는 특성을 의미

④ 본능이자 충동의 원천으로 불쾌감을 줄이고 쾌감과 만족을 추구함 ⑤ 프로이드는 인간은 태어날 때 온전히 원초아적 존재라고 강조함

(2) 자아(ego)

➀ 자아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부분으로 비현실적인 쾌락주의를 추구하는 원초아와 비현실적인 도덕주의를 추구하는 초자아 사이에서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 ② 이차적 사고과정 :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때까지 만족을 지연하는 사고과정으로 현실검증을 하는 것으로 외부세계에서 일어나는 자극들이나 지각들을 분별하고 이드의 소망과 충동에서 일어나는 자극, 지각들을 분별하는 자아의 능력을 의미

예> 목이 마르더라도 현실적으로 물을 구할 수 있을 때까지 상황을 파악하고 기다림

③ 현실원칙 : 적절한 시기까지 긴장의 방출을 지연시켜 궁극적으로 사회가 수용 가능한 형태로

만족을 얻는 능력

④ 원초아의 충동이 현실세계에서 수용 가능한 형태로 발현되어 행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 ⑤ 자아가 과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때 불안(anxiety)이 생기며, 불안은 자아에게 보내는 위험

신호로 강조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를 사용하게 됨

⑥ 자아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며 자아가 불안을 잘 해결하지 못하면 신경증

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함

- 13 -

-----------------------------------------------------Page 16-----------------------------------------------------

아동복지론

(3) 초자아(superego)

➀ 초자아는 정신의 도덕적 판단을 하는 심판자로서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한 인간의 행동이 도 덕적으로 옳은지 그른지를 현실세계에서 수용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 ② 초자아는 타고나는 것이 아닌 발달과정 중에서 습득하게 되는 것이며, 어린 시절 양육자(부

모)의 양육태도와 같은 사회화 과정이 중요함

③ 아이가 부모의 사회적 가치와 이상을 동일시함으로 발달 ④ 성격의 도덕적 판단을 담당 : 상, 벌

3. 심리성적 성격발달단계

●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libido)가 집중된 부위(입, 항문, 성기 등)에 따라 아동기의 발달단계를 구분 -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에 걸쳐 발달하

고 특히 남근기까지의 단계가 성격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

-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이 방해받게 되면 특정 단계에 고착될 수 있고, 이러한 고착은 성인기 성

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 고착의 강도가 강할수록 그 시기로의 퇴행이 일어날 수 있음

• 고착(fixation) : 특정 단계에서의 만족이 지나치거나 과도한 에너지를 투입한 경우 발생

• 퇴행(regression) : 성인기에 고통스러운 감정을 경험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발달 단계를 의미하며, 초기단계에서 하던 행동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

• 성인기의 대다수의 활동은 영, 유아기의 경험에 의해 결정됨

1) 구강기(출생 후-18개월)

(1) 유아의 일차적 활동은 적을 먹는 것에 집중

➀ 성인의 구순기적 고착 현상 : 껌 씹기, 손톱 물어뜯기, 과식, 흡연 등

(2) 입, 입술, 혀 같은 기관에 집중해 있음

(3) 구순기의 욕구 충족 : 개별화, 분리, 친밀한 대인관계 형성 (4) 구순기의 욕구 불충족 : 극도의 의존성, 대인관계 형성의 어려움

2) 항문기(18개월-3세)

(1) 에너지의 초점이 구강영역에서 항문영역으로 이동

(2) 배변으로 생기는 항문자극에 의해 쾌감을 얻으려 하는 시기 : 배변훈련

(3) 변을 참거나 내보내는 배설과 관계된 활동은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갈등이 생김 : 부모와 자녀사

이의 통제 문제로 인한 갈등이 발생

(4) 항문 배설적 성격

➀ 엄격한 강압적인 부모의 배변훈련 : 잔인, 파괴적, 난폭, 적대감

(5) 항문 강박적 성격

➀ 질서정연

② 정돈, 결백한 행동에 대한 강박, 소극적, 완고

(6) 따라서 부모의 적절한 조절을 통한 배변훈련은 인간의 창조성, 생산성, 관용, 자선, 박애행동을 만

들어냄

- 14 -

-----------------------------------------------------Page 17-----------------------------------------------------

아동복지론

3) 남근기(3세-5세)

(1) 성기에 집중되는 시기

(2) 성기를 자극하고 자신의 몸을 보여주거나, 다른 사람의 몸을 보면서 쾌감 (3)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있으며, 사랑하고 사랑받기를 원하며 특히 칭찬을 갈망함

(4) 남아와 여아는 서로 다른 콤플렉스를 경험하며, 남자아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여야는 엘렉

트라 콤플렉스를 경험하게 됨

(5) 남아 : 거세불안(아버지에 대한 두려움) (6) 여아 : 남근선망

* 오이디푸스(오이디푸스, oedipus) 콤플렉스

- 심리성적 발달단계의 세 번째에 해당하는 남근기(4-5세)인 시기에는 리비도가 성기에 집중되 어지고, 성기로부터 쾌감을 얻을 수 있는 시기가 된다. 이 시기에 이르러 주목할 만한 갈등 과 불안을 겪게 되는데 그것이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이다.

*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 3~5세, 곧 남근기( 男根期 )의 여아( 女兒 )는 자신의 어머니에게 살해 욕망을 품게 된다는 의미

를 지닌 융(C.G. Jung)의 용어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여성형이라 일컬어진다.

4) 잠복기(6세-사춘기)

(1) 이 시기의 관심은 수면상태로 들어가 특징적인 활동을 나타나지 않음

(2) 리비도는 이 시기엔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 간의 우정, 공부 등으로 표출됨 (3) 정신 에너지는 자아를 발달시키는 데 사용 (4) 원초아, 자아, 초자아 관계 형성

(5) 성공적인 잠복기를 완수 : 학업의 성취감, 원만한 대인관계, 자신감 (6) 과도한 충동의 억제 : 성격발달이 정체, 강박적 성격으로 발전

5) 생식기(사춘기-성인기 이전)

(1) 성적 관심이 되살아남

(2) 관심 대상은 또래의 이성 친구에게 옮겨감 (3) 2차 성징이 나타남 : 호르몬의 분비 왕성 (4) 사춘기 초반 동성애로 동성에 대한 관심

(5) 점차 이성 관계, 구애, 결혼, 가족형성, 집단 활동, 직업에 대한 관심 등 가고 싶지 않은 무의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

4. 방어기제

● 방어기제 : 자아가 역할을 감당하지 못할 때 내적 갈등과 불안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로부터 스 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이용하는 대처 양식

- 일반적으로 도덕적인 관점에서 용납되지 못하는 성적 충동, 공격적 욕구, 미움, 원한 등은 어떤 위험 으로 간주되어 갈등이나 불안을 느끼게 하는데, 이러한 갈등이나 불안을 없애려고 하는 자아의 무의 식적인 노력을 의미

- 병리적인 기준 : 강도, 연령, 균형, 철회 가능성

- 안나 프로이드(프로이드의 막내딸)의 저서 : 자아와 방어기제(The Ego and Mechanisms of Defense)

- 15 -

-----------------------------------------------------Page 18-----------------------------------------------------

아동복지론

1) 억압(repression)

•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흔히 쓰이는 무의식적 정신기제로 불안에 대한 가장 일차적이고 보편

적인 기제

예) 시험이 다가오면 까닭 없이 긴장이 되고 피로해지기 시작한다.

2) 억제(suppression)

• 억압과 같은 기제이나 의식적 반의식적 수준에서 작동한다. 예) 어두운 밤길을 혼자 걸을 때 희망찬 노래를 부르면 안정이 된다.

3)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과는 정반대로 행동하는 기제

예)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4) 합리화(rationalization)

• 우리가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한 지적이 두려워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 체면을 유지

하고자 함

예) 여우와 신포도

5) 투사(projection)

• 자기 자신 내부의 문제와 결점이 자기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기제 예) 수업이 지루한 학생이 복도에서 떠드는 학생 때문에 집중할 수 없다고 비난한다.

6) 승화(sublimation)

• 내적인 갈등을 사회가 용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표출하는 기제로 주로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을 통해 나타나는 등 건강한 형태의 기제

예) 잔인한 충동을 승화시켜 의사가 되고자 노력한다.

7) 전치(displacement)

• 한 대상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정이 대상에 그대로 표출되면 죄책감이 생기므로 안전한 대상으로

옮겨서 표현하는 기제

예) 한일 간의 독도분쟁에 대해 격분한 한국 청소년이 일본 친구를 만났을 때, 친구에게 화를 직접 낼 수 없어서 옆에 있는 일제 볼펜을 부러뜨리는 행동

8) 고착(Fixation)과 퇴행(regression)

• 고착 : 각각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에서 더 이상 성숙하지 못하고 특정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을 의미

• 퇴행 : 불안을 일으키게 하는 내적 위험에 대하여 마음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기제의 하나로

서 적응이 곤란한 때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함

예) 5살 된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면서 엄마의 젖을 물려고 하는 행동

- 16 -

-----------------------------------------------------Page 19-----------------------------------------------------

아동복지론

5. 프로이드의 심리치료

● 프로이드는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원천은 매우 다양하고 강조

● 정신분석의 목표 : 문제를 일으키는 무의식 속의 정서를 의식 속에서 표현하게 하여 통찰력을 갖게 함

1)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 클라이언트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감정, 생각, 기억, 환상, 꿈 등을 자유롭게 말하게 하는 개입기술

예) 기차의 창밖의 경치를 보면서 보는 그대로 옆 사람에 전하는 것

2) 전이(transference)

• 클라이언트가 상담사를 자신의 과거 속 중요한 인물로 느껴 그 인물에게 느꼈던 감정을 지금의 상

담사에게 느끼는 것

•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 상담자가 과거에 경험한 인물에 대한 느낌을 현재의 내담자에게 발

견하는 것. 상담자의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

• 개입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인생 초기의 의미 있는 대상(양육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했으나 억압되어

무의식에 묻어두었던 감정, 신념, 욕망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상담사에게 표현하는 현상임

3) 훈습(working-through)

• 클라이언트가 획득한 긍정적인 변화가 일반화되도록 하는 작업. 자신의 내면적 문제 또는 갈등의 원인과 그 역동성을 통찰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현실상황에서 그와 유사한 문제를 맞게 될 때 이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함께 치료 장면에서 이 문제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과정

4) 직면(confront)

•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위 사이의 불일치, 표현한 가치와 실행 사이의 모순, 회피 등을 클라이언트

자신이 주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임

5) 통찰(insight)

• 클라이언트가 이전에는 이해하지 못했던 개인의 정신적, 감정적 갈들의 요소들을 자각하여 일게 되

는 것. 치료 중기과정 이상에서 나타남

6) 꿈의 해석(dream analysis)

• 꿈꾸는 동안 무의식의 자료들이 상징을 통해 의식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꿈을 해석하기 위한 꿈의

자료를 자유연상하게 한다. 꿈꾸는 자의 개인적 정신세계와 연결하여 꿈의 상징을 해석해 줌

- 17 -

-----------------------------------------------------Page 20-----------------------------------------------------

아동복지론

Ⅱ. 심리사회이론

1. 에릭슨 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1) 에릭슨은 인간의 자아(ego)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짐

2)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은 전 생애를 통해 발달한다고 주장하며 8단계의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지속적

인 발달과정을 강조함

(1) 각 발달단계마다 위기가 있으며 이 과정은 인류 보편적인 속성을 지닌다고 주장 (2) 발달의 순서와 생물학적 성숙의 연계성을 인정

(3) 인간의 성격 발달은 ‘충동 요인(인간의 내부 요인)’ + ‘사회문화적 요인(인간의 외부 요인)'은 업

무·고용 등의 관계로 사실상 아동을 보호·감독하는 자를 말한다.

(4) 인간은 부모 + 또래친구 + 선생님 + 형제자매+교회와 학교 등과 같은 공동체의 영향을 받음 => 환경 속의 인간(PIE : Person in Environment) : 사회복지실천의 토대(생태학적 관점)

2. 주요개념

1) 점성원칙(epigenetic principle)

(1) 모든 인간의 성격은 전 생애를 거쳐 정해진 일련의 단계들을 거치며 점성원칙에 따라 발달 (2) 점성원칙

➀ 인간의 신체 기관들이 유전적으로 이미 정해진 시간표를 따라 성장 발달

② 발달단계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으며 성격의 발달 역시 미리 정해진 순서와 시기를 따라 부분

적인 성격들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며 이 부분들이 모여 하나의 전체로 기능하게 됨

③ 한 단계에서의 결함은 그 다음 단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3) 에릭슨은 점성원칙을 통해 프로이드의 5단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수정 확대하여 8단계에 걸쳐

발달한다는 개념을 수립

2) 자아(ego)

(1) 자아란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내면의 충동과 사회적 규범과 기대 사이에

서 발생하는 갈등들을 중재하여 현실 사회에 적응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역할을 담당

➀ 자아통제(ego mastery) : 환경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자아가 환경을 지배하고자 하는 것 ② 자아강점(ego strength) : 주변사람들과의 원만한 관계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지님

③ 덕목(virtue) : 인간 고유의 강점, 활동적 특질

(2) 성격 발달의 각 단계는 특질적인 강점 혹은 덕목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3) 자아정체성(ego identity)

(1)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식된 자신이며, 보다 포괄적으로 자신의 사고, 신념, 가치 등 각 개

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의미

(2) 인간의 자아 정체성은 매일의 삶 속에서 새로운 경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해 가고 있음

을 강조

(3) 정체성의 형성은 출생 ~ 청소년기에 절정, 전 생애를 걸쳐 일어나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확실

한 자아 정체성을 가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됨

- 18 -

-----------------------------------------------------Page 21-----------------------------------------------------

아동복지론

4) 정신병리

(1) 심리사회적 발달에서 오는 신체, 심리, 사회적 측면의 갈등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기에 발생 (2) 치료의 목적

➀ 자신의 발달 위기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는 통찰력의 증진

② 통찰력을 바탕으로 환경과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환경에 대한 자아지배력을 회복

함으로 증상에서 벗어날 수 있음

3. 에릭슨 이론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 심리사회적(Psychosocial) 발달단계

- 인간발달이 생물학적인 성숙으로 인해 자극되고, 이러한 성숙을 바탕으로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사 회적 여건이 충족되어 각 단계에서 직면하는 위기를 극복하면 건전한 자아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봄 - 사회적 요인의 중요성 : 사회제도, 주변사람 등이 개인의 발달에 긍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건강한 성

격을 갖춘 개인이 다시 사회를 풍요롭게 함

-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

① 장기간 아동에게 모유를 수유하는 A집단 : 다른 사람에 대해 신뢰하고 관대한 사람이 되도록 함 ② 일찍 아동에게 이유식을 시작하는 B집단 : 의존적이지 않으며 독립적인 사람이 되도록 함

● 8단계인 각 발달 단계마다 극복해야 할 심리사회적 위기를 제시

- 위기는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문화에 따라 해결하고 지지하는 방식이 다양

- 모든 위기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지니며,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이 발달되어야 하나, 부

정적인 측면도 없어서는 안 된다고 함

- 각 위기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면 병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음

● 점성원칙 : 각 단계의 발달이 전 단계의 심리사회적 갈등 해결과 통합을 토대로 이루어짐

예> 1단계에서 유아가 양육자와 기본적인 신뢰감이 발달하지 못하면 2단계에서 부모와 떨어져 독립적으

로 자율성과 주도성을 발달시키기 어려움

1) 신뢰 대 불신 - 희망 대 위축(초기 유아기 : 0~만 1세)

(1) 유아의 신뢰 :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이 자신이 배고프거나 추울 때, 젖어 있을 때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것이라는 확신에서 기인

(2) ‘어머니와의 관계 질’이 결정적 : 어머니의 일관성 있고 스스로 확신하는 양육태도

=> 유아는 내적 확실성과 외적 예언력을 지님(누군가 돌봐줄 것이고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조

금 기다리면 해결될 것이라고 믿음)

(3) 신뢰가 형성된 유아는 불안이나 분노를 표현하지 않고 자신의 욕구가 즉시 만족되지 않더라도 보

채지 않고 기다림

(4) 에릭슨은 분별력 있는 신뢰를 갖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불신도 경험할 필요가 있음

(5)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희망(hope)'의 특성을 얻지만 실패할 경우 사회적 관계의

위축(withdrawal)이 나타나 낮은 자존감, 우울증을 나타낼 수 있음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의지 대 불안(아동기 : 만 1~3세) (1) 괄약근의 발달로 스스로 변의 배설과 보유에 대한 조절 가능

- 19 -

-----------------------------------------------------Page 22-----------------------------------------------------

아동복지론

(2) 보행과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모든 것을 스스로 하겠다고 주장

➀ 보유 : 소유하는 것

② 방출 : 파괴적인 힘으로 밀쳐 내는 것, 적대적인 해방

(3) 부모는 아동의 자율성을 지나치게 통제하면 아동이 스스로 행동해 보고자 하는 충동을 자제하고

분노가 내면으로 향하여 수치심과 의심이 발달

➀ 수치심(shame) : 다른 사람의 눈에 자신이 좋게 보이지 않음 ② 의심(doubt) : 자신보다 타인이 더 잘 통제할 수 있다고 믿음

(4) 사회규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율의 수치심과 의심이 필요

(5)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의지(will)'이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만,

※ 실패할 경우 수치심이 내면화되어 자신의 결정을 믿지 못하고 불안해하는 강박적 행동과 피해의식이 나

타남

3) 주도성 대 죄의식 - 목적 대 억제(학령전기 : 만 3~5세)

(1) 신체적 및 정신적 능력이 성숙하여 매우 대범하고 경쟁적이며 호기심 많은 행동을 나타냄 (2)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설정하며 달성하고자 노력하는 주도성을 보임

예> 아동은 벽돌을 목표한 만큼 높이 쌓으려 하고 더 멀리 더 빨리 뛰려는 노력을 함 (3) 성적 호기심을 보이며 부모로부터 제재를 받을 경우 죄책감 같은 죄의식을 갖게 됨

죄의식이 심하면 체념과 무가치감에 사로잡혀 목적의식과 용기가 부족해짐

예> 남아 : 소변 줄기가 멀리 가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함

(4) 부모는 아동이 열심히 사회적으로 유용한 것을 추구하고 스스로 흥미 있어 하는 것을 계획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통제만을 해야 함

(5)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목적(purpose)'이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만, 실패할

경우 자유로운 사고와 표현을 제한하는 ‘억제(inhibition)'가 나타남

4) 근면성 대 열등감 - 능력 대 무력감(학령기 : 만 6 ~ 11세) (1) 인지적 사회적 기술이 숙달되는 자아성장의 가장 결정적인 시기

(2) 학교에서 지적인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에 몰입하면서 또래집단과 협동하여 규칙에 순응하면서 근

면성을 발달

(3) 가정 역할 뿐 만 아니라 학교의 교사의 태도도 매우 중요 : 피부색, 집안의 경제력, 옷차림 등으 로 인해 자신의 가치를 결정하여 열등감을 가지지 않도록 개인의 특수한 재능을 찾아내어 격려하 는 것이 필요

=> 자아 정체감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

(4)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능력(competence)'이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만, 실

패할 경우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하는 사고와 행동의 마비인 ‘무력감(inertia)'가 나타남

5)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란 - 성실 대 거부(청소년기)

(1) 청소년은 사춘기가 되면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노력을 하게 됨

(2) 사춘기 과정동안 급격한 신체적 변화로 인해 정체감의 혼란과 무한한 가능성으로 압도당함 (3) 자아 정체감 : 자기 자신의 독특성에 대한 비교적 안정된 느낌으로 내가 누구인가를 아는 것이며 이는 타인이 나를 보는 방식과 일관성이 있어야 함인지적 사회적 기술이 숙달되는 자아성장의 가

- 20 -

-----------------------------------------------------Page 23-----------------------------------------------------

아동복지론

장 결정적인 시기

(4) 역할 혼란 : 정체감을 형성하지 못해 자신이 속한 집단과 군중의 영웅에게 감정적으로 과잉 동일

시하게 됨

예> 청소년들이 유명 연예인에게 열광하며 헤어스타일과 옷을 그대로 따라 함

(5)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성실(fidelity)'이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만, 실패할

경우 익숙하지 않은 역할과 가치를 ‘거부(repudiation)'가 나타남

6) 친밀감 대 고립 - 사랑 대 배척(성인 초기)

(1) 성인 초기는 청소년기에 확립된 자아정체감을 바탕으로 타인과 상호관계를 형성하여 타인에 대한

보살핌과 사랑을 넓혀 심화시키는 단계를 갖게 됨

(2) 친밀감 : 확고한 정체감을 바탕으로 성적 사랑을 통해 확고해지며 우정, 인류애적인 사랑을 모두

포함

(3) 친밀감이 형성되지 못하면 고립이 일어나 융통성 없는 삶을 살게 됨

예> 연애가 자신의 성공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철저하게 이성교제를 피하는 것

(4)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상호 헌신하는 ‘사랑(love)'이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

만, 실패할 경우 남을 밀쳐 내는 ‘배척(exclusivity)'가 나타남

7) 생산성 대 침체 - 배려 대 거절(성인 중기)

(1) 성인 중기는 자신의 세대를 넘어서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게 됨 (2) 생산성 : 자녀 출산, 양육, 다음 세대를 위한 헌신과 기여 등

=> 사회를 존속시키는 원동력이 됨

(3) 침체 : 자신의 에너지와 기술을 오로지 자기 확대와 자기만족에만 사용 (4) 중년의 위기 : 침체를 경험하게 되면 자신의 삶이 잘못된 것이라고 인식

(5)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타인을 돌보는 능력인 ‘배려(care)'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만, 실패할 경우 타인에게 충분한 관심을 표현하지 못하는 ’거절(rejectivity)'가 나타남

8) 자아통합 대 절망 - 지혜 대 경멸(노년기)

(1) 노년기에는 자신의 신체적, 사회적 상실에 대처해야 함 (2) 상실 : 체력, 건강, 퇴직, 배우자와 친구의 사망 등

(3) 자아통합 :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인생을 수용하고 갈등, 실패, 실망 따위를 성공, 기

쁨, 보람과 함께 전체의 삶 속에 포함시킴

(4) 절망 : 지나온 생을 후회하며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다시 시작하거나 다른 방법을 찾기

에는 너무 늦었다는 후회의 감정

(5)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자신의 삶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혜(wisdom)'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지만, 실패할 경우 자신에 대한 ’경멸(disdain)'이 나타남

4. 주요 치료기법

1)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면담하면서 증상과 주요 갈등, 일상생활의 중요한 측

면들의 관련성을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깨달을 수 있도록 해석해준다.

2) 클라이언트의 꿈, 전이를 해석하여 클라이언트의 정신병리와 치료자와의 관계, 어린 시절의 주요 갈

등, 현재의 일상생활들이 연결되는 특정 주요 주제를 찾음

- 21 -

-----------------------------------------------------Page 24-----------------------------------------------------

아동복지론

3)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자신의 발달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통찰력을 갖는 자기분석을 시도함

=> 오늘날 노인들의 “회상기법”의 시초(노인들이 자신의 과거를 의식적으로 회상해 자신의 역사를 통합

하여 자아통합이라는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움)

Ⅲ. 인지발달이론

1. 피아제 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 피아제는 인지이론을 통해 인간은 능동적이며 탐색적인 존재로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인지를 발달시켜 간다고 함

• 인지의 발달은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자발적으로 인지의 구조를 창조, 수정,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발

전함

• 인지의 발달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전개되며 한 단계를 건너뛰거나 그 다음 단계로 진행되거나

그 순서가 바뀌지 않음

• 각 단계마다 나타나는 사고의 특성이 본질적으로 다르며 그 단계 자체로 완전함 • 아동은 어른과 다른 사고방식을 지니며 아동의 독특한 사고과정을 이해함

2. 주요개념 1) 순응과정

• 인간의 인지발달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순응과정 : 동화+조절

(1) 동화(assimilation) : 무엇을 먹거나 소화시킬 때처럼 흡수하는 것을 의미

자기 나름대로의 이해 틀에 맞춰 이해하고 해석 => 동화만 일어나면 인지 ‘평형’ 상태가 유지

=> 새로운 경험과 지식이 기존의 도식으로는 해결되지 않을 때 ‘불평형’ 상태가 유지

(2) 조절(accommodation) : 기존의 틀로서 이해되지 않을 때 그 틀을 변화

외부세계에 대처하는 방법을 정교하게 구성

2) 도식(schema)

• 유기체가 외부의 사물을 인지하고 대응하는데 사용하는 지각의 틀 • 반응의 틀

• 보기, 쥐기, 때리기, 차기 등 외부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인간이 반복하는 행동과 경험

3. 발달단계

• 인지능력의 발달

- 아동과 그를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단계적으로 성취 - 발달단계의 순서는 불변하며 속도의 차이는 존재

- 학습과 유전 <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아동 스스로가 구성

1) 감각운동기 : 출생-만 2세

• 빨기, 쥐기, 때리기 등 신체적 행동 양식을 조직화

• 자극에 의한 반응, 기억과 미래에 대한 계획이 아닌 감각운동에 기초하여 행동

• 대상 영속성 : 어떤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졌다 해도 그 존재가 소멸되지 않고 살아 있다는 것을

아는 것

- 22 -

-----------------------------------------------------Page 25-----------------------------------------------------

아동복지론

2) 전 조작기 : 만 2-7세 • 언어를 사용하는 나이

• 사물이나 사건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가능, 조작능력에는 한계 • 변형된 경험을 논리적으로 환원시키지는 못함

• 지각에 의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직접적 경험에 한해서만 논리적 사고가 가능 • 상징적 활동의 증가, 직관적 판단, 자아 중심성

(1) 물활론적 사고 : 모든 물질은 생명이나 혼,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자연관, 움직이는 것은 살

아있다고 믿음

(2) 도덕적 실재론 : 모든 규칙은 지켜져야 하며, 규칙은 특수한 상황이나 사정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

고, 규칙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는 벌이 뒤따른다. (3) 꿈의 실재론 : 꿈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음

3) 구체적 조작기 : 만 7/8-11/12세(초등시기)

• 타인의 관점에 대하서도 고려

• 두 가지 이상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가능

• 구체적인 행위에 대해서만 체계적으로 사고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만 인지

(1) 보존개념의 획득 (2) 탈중심성

(3) 자율적 도덕관 (4) 유목화

4) 형식적 조작기 : 만 11/12-14세

• 직접적으로 경험하지 않아도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추론, 가설을 세워 검증 • 조합적 사고(combination thinking)를 통해 여러 가능성을 생각, 가설 검증 • 문제해결능력과 분석능력이 발달

• 미래, 사회의 본질 등 추상적 사고가 가능

• 이상주의, 유토피아를 상상, 현실적인 검증 없이 관념적인 세상의 변혁을 시도 • 점차 성인역할을 수행하면서 탈 중심화가 이루어짐

Ⅳ. 행동주의이론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이론

1) 파블로프 이론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 어떠한 상황에서 경험했던 자극이나 사건들 간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어떤 것을 학습했기 때문에

나타남

• 고전적 조건화는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이론적, 실험적 기초를 제공함

• 과학적 연구과정에서 여러 연구들을 반복적으로 응용하여 다양한 원리들을 발전시킴

• 인간행동 변화를 위한 이론과 기술적인 면에서 큰 공헌을 하며, 학습에 기초를 두고 선행조건과 결

과에 의해 행동이 형성된다는 입장을 지님

- 23 -

-----------------------------------------------------Page 26-----------------------------------------------------

아동복지론

1) 주요개념

(1) 고전적 조건화(Pavlov : Classical Conditioning)

• 행동을 유발시키는 힘이 없는 중성자극(종소리)에 반응유발 능력(연상)을 가지게 하는 조건자

극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

• 개-음식을 주면 침을 흘림 -> 종소리+음식을 주면 침을 흘림 ->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림

출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최옥채 외, 양서원

(2) 자극 일반화

• 조건화가 일어난 후에 유기체는 조건화과정에서 경험했던 조건자극이 아니지만 이와 유사한

자극에도 반응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음

예> 종소리에 자극이 된 개는 이후에 종소리와 유사한 소리만 들어도 반응을 보임

(3) 변별자극

• 특정한 반응이 보상되거나 보상되지 않을 것이라는 단서 또는 신호로 작용하는 자극을 의미 • 어떤 행동이나 반응을 보여야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인지를 알려주는 신호 • 따라서 인간은 변별자극을 통해 자신의 외부세계를 잘 관리하고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음

(4) 학습 소거

• 조건자극(종소리)과 무조건자극(음식물)이 더 이상 연결되지 않을 때 조건자극만 제시하면 학

습된 조건반응이 점차로 줄어들거나 결국은 없어진다.

(5) 자발적 회복

• 학습된 행동이 소거된 후에 음식물을 개에게 주면서 종소리를 들려준다 해도 처음에는 종소리

만으로는 침 흘리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음

• 그러나 충분한 노력으로 원래의 조건화가 주어진다면 조건화된 반응이 다시 나타나면서 반응

에 대한 자발적인 회복이 일어남

- 24 -

-----------------------------------------------------Page 27-----------------------------------------------------

아동복지론

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이론 1) 스키너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 스키너는 행동의 경험적 분석에 주된 관심으로 행동주의 심리학자로 교육과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미침

• 쥐, 비둘기 등 하등동물을 연구한 후 그 원리를 성인과 자폐증 아동을 연구하고 인간의 언어 분석,

학습기계의 고안에 적용함

• 스키너 상자(skinner's box)로 알려진 동물의 조작적 행동을 연구하고 온도가 조절된 유아용 침대를

고안하여 어린 딸에게 사용함

• 기본가정은 인간은 외부환경이나 자극에 의해 학습되며, 클라이언트의 역기능적인 행동은 잘못되고

부정적인 행동을 모방(모델링)하거나 학습한 결과

2) 주요개념

(1) 조작적 조건화(Skinner : Operant Conditioning)

• 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함으로써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

는 방법

• 인간이 환경적 자극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나타내는 행동 • 스키너 상자 :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장치

• 미로상자에 갇힌 동물들은 도구의 조작을 통해 미로상자를 빠져나올 수 있는 방법을 학습 ->

효과의 법칙

• 모든 행동의 효과는 그 행동을 방출하는 유기체가 앞으로 취할 행동의 원인이 됨

츨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최옥채 외. 양서원

< ABC 패러다임 >

선행요인

(Antecedents)      ⇛

행동

(Behavior)        ⇛

- 25 -

후속요인

(Consequences) : 행동에 뒤따르는

강화요인

-----------------------------------------------------Page 28-----------------------------------------------------

아동복지론

(2) 조작행동

• 스키너는 인간의 행동을 2가지로 구분

➀ 반응행동 :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나오는 행동

예> 눈앞에 무엇인가 날아오면 눈을 감는다.

② 조작적 행동

- 의식적으로 어떤 결과를 일으키게 조작하는 행동 - 도구적 조건화, 조건적 조건화 - 학습된 행동

예> 스키너 상자 : 지렛대를 빨리 누르면 먹이가 많이 나온다. 만약, 지렛대를 눌러도 먹이가

나오지 않으면 누르지 않는다.

(3) 강화(reinforcement)

•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 원리

• 인간의 행동은 그 결과에 의해 통제

• 어떤 결과가 다시 일어날 가능성을 증가시켜 줄 때 나타남 • 강화의 형태

➀ 일차적 강화 : 강화속성을 가진 사건이나 대상으로 유기체에 주는 보상

예> 배고픈 사람에게 음식을 줄 때 : 음식 자체

② 이차적 강화 : 일차적 강화물과 연결됨을 강화력을 가지게 된 자극

예> 배고픈 사람에게 음식을 주면서 보여주는 웃음, 표정

• 강화의 종류

➀ 정적(positive) 강화 : 즐거운 결과를 제공(스키너는 부적 강화보다 더 강조)

예>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원하는 것을 사주는 긍정적인 보상

- 사회적 강화 : 칭찬, 미소, 토닥여주기 등(인간은 더 선호) - 물질적 강화 : 선물, 음식, 장난감 토큰 등 ② 부적(negative) 강화 : 혐오스런 결과를 제거

예> 학교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화장실 청소를 면제

-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제거했을 때 행동 지속력이 높음

(4) 소거

• 이전에 강화되었던 행동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경우 • 보상받지 못한 행동은 발생의 기본적인 수준으로 감소하여 그 행동은 소거

(5) 행동조성

•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한꺼번에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점진적으로 학습됨

• 복잡한 행동이나 복합적인 기술을 학습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며,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

할 수 있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을 감화함으로 행동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감

예> 아이의 대소변을 가리도록 차례대로 학습하는 방법 ① 배변욕구에 대한 의사표현을 칭찬을 통해 독려 ② 바지를 내리고 변기에 앉고

③ 배설한 후 변기의 물을 내리는 행동

- 26 -

-----------------------------------------------------Page 29-----------------------------------------------------

아동복지론

3.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1) 반두라의 인간관과 기본 가정

•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은 내적 과정과 외적 과정을 잘 결합한 행동주의 학파의 이론 • 자극(stimulus) - 유기체(organism) - 반응(response)의 과정을 제시함

=> 자극은 유기체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일어나는 반응은 유기체에 의해서 발생함

• 행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를 강조함

• 모든 학습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자신의 경험 이외에도 관찰학습을 통해

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봄

• 관찰을 통해 대리학습을 한다는 것은 사회학습이론에서 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함

2) 주요개념

(1) 모방

• 사회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 새로운 반응들은 모방을 통해 학습될 수 있고 현존하는 반응의 특징들은 직접적 강화를 받지

않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반응결과를 통해서 변화함

• 사람은 모델을 관찰함으로 특별한 반응을 학습하며 일단 반응이 획득된 후에는 사회적 힘이

학습과정에 영향을 줌

➀ 모델로부터 관찰자에게 모방적인 반응 패턴이 전달됨 ② 접촉하는 빈도에 따라 학습된 반응이 강화, 약화됨

예>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만화 주인공을 접한 아동은 공격성이 증가함

③ 모델을 강화함으로 이전에 획득한 반응이 더욱 촉발됨

예> 오랫동안 고향을 떠나 다른 지방에 사느라 지방 사투리를 거의 쓰지 않던 사람이 자기

고향을 방문하면 다시 그 지방 사투리를 빨리 재생하는 경우

(2) 인지

• 사회학습은 인지적 활동이며 인간행동의 상징적인 표현은 언어적 정보와 모델에 관한 관찰을

통해 발달함

• 사람은 다른 사람을 관찰함으로 어떻게 새로운 행동이 형성되는지를 알고 이 정보를 입력하여

행동을 위한 지침으로 사용

• 인지적 매개과정은 대리학습을 할 수 있게 하고 실제로 행동을 하기 이전에 행동학습에서의

교정을 가능하게 함

(3) 관찰학습

• 관찰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으로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직접 강화를 받지 않더라도 다

른 아동이 행동의 결과로 보상이나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함

• 따라서 보상받을 수 있는 행동을 학습하고 벌 받는 행동은 학습하지 않는다. • 대리학습, 사회학습, 모델링

➀ 주의집중단계 :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관찰된 행동을 배우거

나 중요하지 않은 것은 걸려낸다

② 유지단계 : 주위의 모델로부터 받은 내용과 인상을 자신의 내면에 오랫동안 기억하는 것을 의

- 27 -

-----------------------------------------------------Page 30-----------------------------------------------------

아동복지론

③ 생산단계 : 심상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징적으로 부호화된 기억을 행동으로 전환하는 것 ④ 동기단계 : 관찰학습 과정의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함. 최대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됨

(4) 상호결정론

• 인간의 성격이란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소들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달

=> 상호결정론에 근거를 둠

• 환경은 사람이 행동하는 상황을 제공하고, 사람은 인지와 지각을 통해 그 상황을 분석하여 어 떤 행동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하며, 행동은 사람의 상황 분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그 환 경을 수정함

• 사람, 환경, 행동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의존적임

(5) 자기규제

• 자신의 행동을 감독하고 스스로 자부심을 지니는 것, 인간의 행동은 자기강화에 의해 규제됨

(6) 자기 효능감

• 자신이 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어떤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

(7) 공격성의 사회화

• 아이의 공격성은 공격적 모델을 관찰하고 그 모델이 언제 강화를 받는지를 주시함으로 학습됨

(8) 학습된 무기력

• 인지행동의 특수한 영역으로 동기의 결핍, 인지적, 정서적 결핍들이 무력감을 야기함

• 자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사건에 직면하면서 미래의 결과를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는 무기력이 발생

예> 자연재해, 범죄, 폭력 등 심각한 외상사건을 경험한 경우

- 28 -

-----------------------------------------------------Page 31-----------------------------------------------------

아동복지론

2주차 2차시 아동발달이론(2)

Ⅰ. 생애주기 관점과 생태체계 관점

1. 생애주기 관점

아동이 전인격적인 발달과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생애주기적인 발달의 관점의 중요성이 대두되기에 아동

의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신체적

• 아동이 성장하는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젖니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게 되며 시각도 만 7세까지 는 완전히 발달을 하게 된다. 여아는 대략 만 10세에서 12세경이면 사춘기에 들어가며, 남아는 대체 로 만14세에서 16세경에 사춘기를 맞게 된다.

(1) 아동기 신체발달을 위한 특정한 목표

➀ 대근육 기술 강화하기:자신감을 가지고 대근육 기술 사용하기, 방향이나 속도에 대한 조절

능력 강화하기, 물체 뛰어넘기

② 소근육 기술 강화 정교화하기:원활한 소근육 사용하기, 쓰고 그리는 도구 사용하기

③ 신체적 능력 향상을 위해서 모든 감각 사용하기:소리의 유사점과 차이점 확인하기, 향상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균형 잡기, 방향 잡기

(2) 아동기의 신체발달에서 최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

• 비만아동(obese child)이라 함은 정상 범위를 넘어서 비만상을 나타내는 아동을 말하는데 최근

의 발육 가속 현상 또는 도시화 현상으로 비만아동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이것은 생활환경의 개선이나 식생활에 있어서의 식품의 질적 또는 양적인 면에서의 향상, 운동

량의 감소 등이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세계적 경향이기도 하다.

• 10세를 절정으로, 9∼13세에 집중적으로 많은데 원인은 가족적 요인과 과식, 운동과 음식 섭취 의 불균형에서 기인한다. 비만아동은 2차적으로 운동 기능이 저하되고, 그것이 다시 비만을 조 장하는 식으로 악순환을 거듭할 뿐만 아니라 이로 말미암은 부정적 신체 이미지와 열등감을 형 성할 수 있어 심리적 문제라는 점에서 아동복지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2) 사회·정서적 (1) 사회성 발달

• 아동에게는 인격적 독립을 얻는 것, 동년배 이성과 어울려 지내도록 배우는 것, 그리고 성역할

을 배우는 것 등 사회성 발달을 위한 발달과업이 주어진다.

• 아동은 자신의 성취에 대한 기쁨과 더불어 성인에게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에 대한 가치관과 근면감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가족보다는 또래집단의 영향이 더욱 중요해지며, 또래관계가 아 동의 가장 큰 기쁨과 깊은 좌절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 아동의 성과 관련해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유능하여 친사회적으로 행동하며, 학교에서의 학업 능력도 뛰어나고, 교우관계에서도 갈등이 적어, 남아보다 여아가 부정적 결과에 대하여 자신을 보호하고 건강한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탄력적 요소를 부각시키는 보호 요인으

- 29 -

-----------------------------------------------------Page 32-----------------------------------------------------

아동복지론

로 작용한다.

• 아동기의 공격성은 점차 횟수가 증가하여 공격의 횟수와 공격을 표현하는 방법은 양성 간에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동의 공격성은 부모와 자녀양육 방식, 교사와 학생 관계, 그리고 텔레비전 폭력과 같은 접촉 등에 영향을 받는다. 교사는 아동의 공격성을 조절하도록 돕기 위해 나누기, 협동하기, 좋은 것에 대해 이야기하기 등과 같은 사회적 행동을 많이 경험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긍정적 역할 모델을 제공해야 하며, 공격적 행동이 줄어들 수 있는 물리적 ․ 사회적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아동에게 자제력을 개발하고,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기술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서영숙, 1996).

• 이 시기의 아동은 사회적 놀이 가운데 단체놀이(team play)를 좋아한다. 이 단체놀이는 혼자서 하는 놀이나 집단놀이(group play)에 비하여 규칙을 지키고 서로 간에 팀워크가 중요한 활동이 다. 아동은 이러한 단체놀이를 통해서 분업의 원리, 경쟁의 본질과 승리의 중요성, 개인의 목표 가 단체의 목표에 종속된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2) 정서적

• 정서란 자극에 대하여 동요, 흥분될 때 경험하는 심리 상태나 감동으로서 포괄적인 정신 ․ 신체 적(psychosomatic) 상태라 할 수 있다. 정서표현의 변전성, 일시성, 강열성, 빈번성 등을 그 특 징으로 들 수 있는데,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서 이러한 정서적 표현방법이 달라진다.

• 영유아기에 있어서는 미분화적 ․ 전체적 ․ 직접적 표현을 했으나, 점차 성장해 감에 따라서 스스로 이를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분화된 간접적 표현을 하게 된다. 또한 아동이 성장해 감에 있어서 어떤 정서적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그의 성격발달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아동기의 사회 ․ 정서 발달을 위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➀ 자아존중감을 경험하게 하는 것:가족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 확인하기, 독립심 증진시키기,

자신감을 지니고 남에게 보여주기, 자신의 권리 옹호하기

② 협동적인 친사회적 행동을 보여주는 것:타인 돕기, 성인과 자신 구별하기, 타인의 권리 존중

하기,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기, 과업 완수를 위해 타인과 협동 작업하기

③ 삶에 대한 적극적 태도 보이기:새로운 활동 시도하기, 일상생활에 참여하기, 교실활동에서

흥미와 열정 보여주기, 성인과 신뢰감 형성하기

3) 인지적

• Piaget의 구분에 의하면, 아동기는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된다. 이는 대략 7세에서 11~12세에 이르 는 시기이다. 아동은 또한 전조작기에 불완전하게 획득했던 분류와 연속성, 보존의 개념들을 구체적 조작기에 들어서는 완전하게 획득한다. 또한 조합 기술(combination skill)을 획득하여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와 같은 셈을 할 수 있다.

• 이 시기의 아동은 또한 상황과 사건에 대해서 융통성 있는 사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과 다른 시각에서 사건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 조작기에 아동의 인지가 상당히 발달하였다고 해도 여전히 제한적이다. 사건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는 있지만, 이 관점은 여전히 구체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아동은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만지는 것을 중요시한다. 그들의 초점은 생각이 아니라 사물에 있다. 아동은 인지발달 최종 단계의 형식적 조작기로 옮겨져야 보다 수준 높은 사고를 할 수 있다.

- 30 -

-----------------------------------------------------Page 33-----------------------------------------------------

아동복지론

• 아동의 인지발달을 위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➀ 학습에 대한 적극적 태도 발달시키기:발견 ․ 모험하기, 학습활동에 성공하기, 실수한 후에도 일

을 계속하기

② 학습 기술 강화하기:질문하기, 형태, 배경 식별, 부분, 전체 식별, 배열과 같은 지각운동 기술

사용하기, 환경에서 새로운 어떤 것을 탐색하고 조사하기, 경험 상기하기

③ 논리적 기술 확장하기:패턴을 인지하고 그것을 반복하기, 사건을 순서대로 배열하기, 구체적

경험의 바탕 하에서 간단한 인과관계 설명하기, 문제 해결 확인하기

④ 사물에 대한 개념과 정보 습득하기:시간 개념의 이해 설명하기, 환경 중에서 사물의 이름을

알고 사용하기, 비교하기, 사회에서 일하는 사람의 역할 인식하기

⑤ 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확장하기:생각과 느낌을 자유자재로 말하기, 집단 토론에 참여하기,

정확한 문법 사용하기, 잘 듣기

4) 도덕성발달

• 사회화 과정에서 아동에게 옳고 그른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아동중기에 접어들면서 아동은 사회의 규칙과 기준에 자신의 가치관을 맞추게 되고 자신의 생활을 조직화한다. 도덕성 발달은 아동 자신이 속한 문화의 생활을 조직화한다. 도덕성 발달이란 아동 자 신이 속한 문화의 도덕적 가치에 따라 행동하도록 배울 뿐 아니라 그것을 내면화시켜서 자기 자신 의 가치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 도덕성 발달은 도덕적 태도와 신념 및 가치관의 획득과 함께 도덕적 행동을 수정할 수 있어야만 된다. Piaget의 인지이론은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도덕성 발달 과정을 보았다. 그에 의하면 5세부터 7세까지는 타율적 도덕성을 획득하는 시기인데, 이 시기 아동은 규칙은 절대적 이며 신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보며, 규칙에 위배되는 행동은 동기가 무엇이든지 간에 결과가 나쁘 면 그 행동의 나쁘다고 지각한다. 즉, 행위의 결과만을 중시한다. 7세부터 10세까지는 친구와의 규 칙 적응과 타율적 도덕성과 자율적 도덕성의 과도기이다. 10세가 지나고 나면 자율적 도덕성이 나타 나는데, 이 시기의 아동은 규칙은 더 이상 신성불가침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며 모든 사람이 동의한다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2. 생태체계 관점

1) 기본 관점 : 생태학적 이론은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전체적 인간관을 지님 • 인간과 환경은 분리될 수 없으며, 인간과 환경은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영향 • 인간은 환경적 요구에 적응하고 환경을 자신에 요구에 맞게 수정, 변화, 발달 • 인간은 능동적, 유목적적, 사회문화적 존재

• 인간은 타인과 가치 있는 사회관계를 통해 존경과 관심을 주도 받음

• 인간은 환경의 모든 요소와 지속적인 상호교환을 하는 존재 -> 적응적, 진화적 관점

• 환경을 이해하지 못하면 개인의 미래를 예측하지 못하며, 개인을 이해하지 못하고 환경의 미래를

예측할 수 없음(∴ 인간과 환경은 분리될 수 없으며,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

• 인간에 대한 결정론적 시각을 배척하고 환경적 요구에 적응하고 환경을 자신의 요구에 맞게 수정

또는 변화시킴으로 발달해나가는 존재임을 인식함

• 개인이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회 환경

들이 자신이 살아갈 조건이 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침

- 31 -

-----------------------------------------------------Page 34-----------------------------------------------------

아동복지론

2) 인간발달에 대한 관점

(1) 인간 발달관

• 진화적 시간에 따른 유전적 변화 + 신체적 성숙 + 심리사회적 선택과정

(2) 인간행동 :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

• 전체적인 개인적 특성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갖고 교환 • 일생을 통해 일어나는 개인과 환경의 상호적 역할에 초점

(3) 유목적적 인간관 : 인간은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동적 존재 • 유아는 백지상태가 아닌 환경과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존재

1) 주요 개념

(1) 상호교류(transaction)

• 개인과 환경은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친다. • 상호작용적, 축적적인 관심에 초점

∴ 인간은 지역사회에 적응하며, 자신이 적응해야만 하는 조건을 창조하는데 참여한다는 것을 강조

(2) 관계(relatedness)

• 인간관계를 형성하거나 타인과 연결될 수 있는 능력

• 인간의 관계 능력에 대한 욕구와 능력 : 초기의 양육과정에서 시작되고 일생을 통해 상호적

보호행동의 유형을 결정

(3) 역할(role)

• 특정 사회적 지위를 갖고 있는 개인이 타인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대하며, 타

인이 자신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대

• 일련의 기대되는 행동 유형 + 상호적 요구와 의미의 유형 • 역할 수행은 개인의 자기존중감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님

(4) 유능성(competence)

• 유능성은 인간발달의 필수적인 요소

• 자신의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 • 환경과의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

• 일관적인 애정적 양육과정 지속적 활동이 결합

(5) 환경의 특성 ➀ 사회적 환경

• 관료제 조직 환경 : 보건, 교육, 사회서비스 등

•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 : 가족, 친척, 친구, 이웃, 직장동료 등

② 물리적 환경

• 자연적 환경(기후, 지리적 조건 등) + 인위적 환경(건축물, 대중매체, 교통체계 등)

- 32 -

-----------------------------------------------------Page 35-----------------------------------------------------

아동복지론

③ 공간과 시간의 리듬

• 공간(space) : 개인의 안녕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측면 • 시간(time) : 속도, 기간 등의 리듬

a. 시계상의 시간

b. 호흡, 맥박, 혈압 등의 생리적인 시간 c. 심리적 시간

- 문화적 시간 : 신념, 태도 등

- 사회적 시간 : 한 세대의 생활양식 등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22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71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50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잡담 매경 이번 난이도 171 2020.07.19
3417 잡담 매경 왜케 어렵냐 182 2020.07.19
3416 잡담 학점은행 중단하고 그냥 4년제 대학 늦었어도 가려고 하는데.. 3 408 2020.07.19
3415 잡담 학습자 등록 할때 말이야 공인인증서 범용이어야 해? 1 83 2020.07.19
3414 잡담 컴공 정처산기 소방2 컴활2 가능? 2 137 2020.07.19
3413 잡담 소방 1과목 2과목 차이가 뭐임? 2 45 2020.07.19
3412 잡담 와 메가 심리학 중간 헬이다 1 119 2020.07.19
3411 잡담 매경 어려웠어 ㅋㅋㅋ 구라아님 1 143 2020.07.19
3410 잡담 에라이 책구하기도 힘들고 그냥 책없이 시험볼란다 1 81 2020.07.19
3409 잡담 혹시 현역때 언어2등급, 외국어8등급 이렇게 극단적이었던사람있냐? 1 69 2020.07.19
3408 잡담 독학사 3단계는 확실히 난이도가 있다. 2 396 2020.07.19
3407 잡담 나 8월달에 한경 특시 볼껀데 서울밖에 없나? 1 34 2020.07.19
3406 잡담 테셋 매경 텔마중 어떤게 제일 쉬움? 2 211 2020.07.19
3405 잡담 학사님들앙 139학점에서 못따길바래요~~ 107 2020.07.19
3404 잡담 한울시험 컴한개로 교안이나 구글링가능함? 80 2020.07.19
3403 잡담 한울 교육심리학 망함 65 2020.07.19
3402 잡담 편입 정원 많이 준다고 들었는데 1 69 2020.07.19
3401 잡담 경영전문학사 전공 45학점 맞춰야 하는데 2 115 2020.07.19
3400 잡담 독학사 합격하고 싶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93 2020.07.19
3399 잡담 학은제로 의치한수 학사편입 되나요? 2 154 2020.07.19
3398 잡담 학은제 시작하려는데 플래너 고르는 법 좀 ㅠ 1 141 2020.07.19
3397 잡담 질문)학은제로 전문대 간호 신입학하려는데 2 133 2020.07.19
3396 잡담 학은제 한과목당 2만원 이하로 들을수 있는 곳 잇음? 2 144 2020.07.16
3395 잡담 학위취득 신청하고 바로 학위연계?이거 해도 상관없나요 1 41 2020.07.16
3394 잡담 학점은행제 처음인데 이렇게 하는거 맞아 형들??ㅠㅠ 1 181 2020.07.16
3393 잡담 한경테셋 500제 3 253 2020.07.16
3392 잡담 플래너들은 왜 계속 인정받으려고 하는지 모르겠음 1 97 2020.07.16
3391 잡담 플래너는 왜 끼는거임? 3 198 2020.07.16
3390 잡담 독학사3단계 지금 시작해도 가능? 3 264 2020.07.16
3389 잡담 독학사 3단계 이거 교재 개쓰레기네 2 189 2020.07.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