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 2022.08.29 22:41
고종 즉위 배경
조회 수 172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1. 고종과 선왕 철종과의 관계

 

고종은 선왕 철종과 즉위 전까지는 법적(양자제도)으로 9촌이었고, 실제 혈통상으로는 무려 17촌이었다. 고종은 원래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8대손으로, 효종(인평대군의 형) 후손들로 이어진 왕실 직계와는 너무나도 멀고 먼 방계였다. 그러나 할아버지 남연군이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여 가까운 왕실의 일원이 되었다. 그래도 17촌이나 9촌이나 둘다 일반적인 시각에서는 먼 친척이었다.

 

 

2. 철종 승하 당시 왕실 상황

 

그래서 "흥선군의 정치공작으로 철종과 가까운 다른 왕손을 제치고 고종이 왕이 되었다"는 얘기가 돌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8e214122d13ad19e6c693bcf651dc2bea8b19415c3ccfadc6d07029a8e3ab656f2d8e8a54be901f51a919aa0ff9a3fee4766537cffd0317a4b240b4a8ce.png.jpg
- 양자 관계를 배제하고 혈통 계보만 그린, 철종 승하 당시(1864년 1월) 효종 계열 남계 자손 가계도. 연한 노란색 바탕 인물은 친아들 없이 사망한 사람들이며, 저 표의 인물들 중 1864년 1월 기준 영평군과 경은군(이재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망했다. -

 

 

그 전에 알아둬야 할 것은 왕위 계승의 법칙 상 후임 왕은 반드시 선왕의 아랫대나 최소한 같은 항렬에서 나와야 했고 저 당시 철종의 후계자가 될 종친들 중 핏줄상 가장 가까운 게 17촌이었단 것. 5촌 조카 이재성(경은군)이 있긴 했지만 밀려났다. 이유는 후술. 그리고 이재성과 영평군을 제외하면 효종의 실제 후손이 아예 없었다. 그래서 그나마 가장 가까운 핏줄이 효종 형제들의 후손들인데 그들 중 철종의 조카 뻘인 사람들은 철종과 촌수가 17촌인 것이다.

 

철종이 승하할 당시 왕손들은 전부 족보상 사도세자의 후손들, 정확하게는 서자 3명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의 후손들이었다. 당시 철종의 조카뻘 항렬인 왕손들은 은언군 계열인 이재덕(덕안군), 이재성(경은군), 은신군 계열인 이재원(완림군), 이재긍(완영군), 이재면(흥친왕), 이명복(고종), 이재선(완은군), 은전군 계열인 이재근(인양군)이 있었다.

 

 

<은언군가>

 

먼저 은언군가를 보자. 이재덕과 이재성은 은언군의 장손 익평군의 아들이었다. 이 중 이재덕은 은언군의 제사를 받들어야 하는 종손이었으며 양자였다. 그런데다 실제로는 중종 때 갈라진 덕흥대원군의 후손이었기에 혈통적으로 너무 멀었으며 입양 시기도 철종이 죽기 바로 직전이었다.

 

이재성은 익평군의 친아들로 철종의 이복형 영평군을 제외하면 철종과 혈연상 가장 가까웠지만 고작 3살밖에 안 된 너무 어린 아이인데다 서출이었다. 여기서 서출이 왜 문제인가?하고 의아해 할 수 있다. 왕족의 서출이면 일반 사가와는 다르게 왕족으로 대우받고 왕이 된 경우가 이전에 더러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왕의 4대손까지만 적용되는 것이었고, 이재성은 왕의 5대손을 넘어갔기 때문에 일반 사대부가의 서얼과 같은 위치로 간주되었다.

 

애당초 이재성이 저런 결격 사유로 인해 은언군 가문을 잇지 못했기 때문에 이재덕의 입양이 이뤄진 것이었다. 그래서 이재성이 혈통 기준으로만 보면 최우선 순위였지만 밀려났다. 저런 상황 때문에 은언군 가문에서는 왕을 배출할 수 없었다.

 

 

<은신군가>

 

그 다음 은신군가를 보자.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이 바로 이 은신군의 양자인데, 남연군과 그의 자손들은 실제로는 인조의 아들(효종 바로 아랫 동생 인평대군)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혈통상으로도 그나마 왕통과 가장 가까웠다. 또한, 후손들도 나름 많이 있어 현실적으로도 가장 안정적으로 왕위를 이을 수 있는 집안이었다.

 

 

<은전군가>

 

은전군가의 경우는 서열상 은신군가보다 낮았으며, 실제 혈통으로도 선조의 9남 경창군의 후손이라서 실제 왕통과의 거리가 위의 은신군가보다도 더 멀었다. 즉, 법적으로든 실제 혈연상으로든 은신군가에게 계승권이 밀리면 밀렸지 결코 앞서지 못하는 처지였다.

 

 

3. 효종계와 가까운 인평대군파의 종가에서 택군하는 선택지는 없었나

 

9ea808576528e621720a70f3d65d26a26f235a1dd47e643dae6d7fd90c4ba9f4972d26e8fde9b548af3f49fc39304248ad2d868f354ec6f95f46ce1902f.png.jpg

-양자 관계를 배제하고 혈통 계보만 그린, 철종 승하 당시 인평대군 종가 남계 자손 가계도 -

 

이진익의 후손만 표시되었으며, 연한 노란색 바탕 인물은 남연군의 일가이고, 밑으로 계보가 이어지지 않은 사람들은 아들없이 죽었거나 아직 아들을 못 낳은 사람들이다.


빨간색 테두리는 철종의 조카뻘 항렬, 즉 왕 후보가 될 수 있었던 항렬이다.

 

어차피 실제 효종계가 끊겼고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의 후손들이 전부 양자라면, 차라리 그냥 가장 가까운 혈통인 인평대군파의 종가 출신을 왕으로 세우면 되지 않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따져도 남연군 집안이 제일 가까웠다. 왜냐하면 남연군은 상술했듯 인평대군의 후손인데, 그중에서도 인평대군 4대 종손 이진익의 차남 이병원의 차남이기 때문이다.

 

인평대군 종가 자체는 이진익의 장남 이병순(즉 남연군의 큰아버지)의 후손으로 이어졌지만, 철종 승하 당시 이병순의 후손들 중 철종의 조카뻘 항렬은 없었다. 그러면 차순위인 이병원의 후손들 중에서 골라야 했는데, 이병원의 장남 이도중 계열은 3남 이휘중의 장손 이재윤이 나중에 양자로 들어가 이었다.

 

그래서 이병원의 차남 계열이 가장 적절했는데 그 차남이 바로 남연군이다.

 

 

4. 그럼에도 흥선군의 로비가 즉위에 영향을 미쳤다

 

즉, 뭐로 보나 은신군 - 남연군 후손들 중에서 왕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남연군 후손들은 많았고 그중에서 굳이 이명복이 왕으로 선택받은 것은 순수한 흥선군의 로비 결과이다. 흥선군의 형인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에겐 모두 아들이 1명씩 있었기 때문이다. 흥녕군과 흥완군의 자식은 양자였지만 이들도 다 친동생들의 자식이었기에 혈통의 문제는 없었다. 종법상 이명복보다 서열이 높은 저들을 제치고 이하응은 자신의 친자를 왕으로 내세운 것이다.

 

사실, 원래 종법제하에서 적통 아들이 1명뿐인 경우에는 다른 계통으로 입양시키지 않고 그 다음 순위 서열에 해당하는 사람이 입양 가는 관습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규칙이 아니었으며, 이를테면 새로 입적하는 집안이 본가보다 서열이 더 높은 경우에는 적통 아들, 심지어는 차기 종손을 입적시키는 일도 있었다. 이러한 사례로는 대표적으로 경창군의 10대 종손이 될 예정이었으나 흥완군에게 출계한 이을경(훗날 완순군 이재완), 경창군의 증손 연은군 가문의 7대 종손이 될 예정이었으나 영평군에게 출계한 이순달(훗날 청안군 이재순) 등이 있다. 그런 점을 볼 때 이재원, 이재면, 이재긍이 철종 혹은 익종의 양자로 들어가는 것 역시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선택지였다.

 

이재긍의 경우 생모가 신 안동 김씨였기 때문에 안동 김씨 세도를 경계하던 차기 왕위 지명권자 신정왕후(효유대왕대비)는 이재긍을 후계자로 정할 마음이 전혀 없었다. 이는 다분히 정치적인 요소가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아무리 형 흥완군에게 양자로 보냈다지만 자신의 적장자인 이재면을 놔두고 차남인 이명복을 왕으로 추대한 것에도 나름 이유가 있었다. 철종이 승하할 당시 이재면은 19살로 당시 기준으로는 성인이었다. 따라서 이재면이 왕위에 오르면 흥선군이나 신정왕후(효유대왕대비)가 섭정(대리청정)하며 권력을 마음대로 주무르는게 어렵거나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래서 흥선군은 나이가 찬 이재면 대신 아직 어려 당분간은 마음대로 쥐고 흔들 수 있는 둘째 아들 이명복을 왕으로 추대한 것이었다.

 

이렇게 혈통 문제 및 흥선군의 사전 작업으로 이명복이 조선의 제26대 임금 고종으로 정식 즉위했다. 흥완군의 양자로 갔던 형 이재면은 고종의 즉위로 인해 본가로 돌아가 흥선대원군의 대(운현궁)를 이었다.


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HOT글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 2025.07.20 497 3
HOT글 양극화에 대하여 2 2025.07.22 418 0
HOT글 장비도 없는 열악한 환경 KBS 수요기획 '한국 UDT, 캄보디아를 가다' 2 file 2025.07.22 490 0
공지 🔥 “클릭만 해도 LOVE 코인 포인트 팡팡! 덕질커뮤 홍보 대작전” 2025.07.30 161 0
공지 🚨 “뉴비 필독! 덕질 커뮤니티 한눈에 꿀가이드” 23 2024.11.04 38856 66
13029 "독일도 선제타격 가능" 겁없이 날뛴 대가, 참교육 시작된다. 러우전쟁 조만간 '이렇게' 된다. (최진기 작가 / 통합1부) file 2025.07.28 819 0
13028 양극화에 대하여 2 2025.07.22 418 0
13027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 사고 조사위원회 "조종사의 오작동 있었다" 중간발표 file 2025.07.22 364 0
13026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책 후기. 2025.07.22 353 0
13025 로마 제국이 중세에 남긴 흔적 2 file 2025.07.22 380 0
13024 장비도 없는 열악한 환경 KBS 수요기획 '한국 UDT, 캄보디아를 가다' 2 file 2025.07.22 490 0
13023 중세, 명예와 신앙으로 다스려지는 세계 file 2025.07.20 397 0
13022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 2025.07.20 497 3
13021 일본 731부대 '생체 실험' 추가 증거 공개 누적 피해자 3000명 넘었다 file 2025.07.14 623 0
13020 인류 진화사를 뒤흔든 호모 날레디 그들은 누구인가? file 2025.07.10 946 0
13019 드디어 풀린 인류 '미스터리'...유전적 자료와도 일치 file 2025.07.10 954 0
13018 모션디자인(한국보물) - 청자투각칠보무늬향로 file 2025.06.26 1086 0
13017 모션디자인 - 한국 보물 2 file 2025.06.25 616 1
13016 민주당 울산시당 선대위 전은수!! file 2025.05.20 439 0
13015 이준석, 긴급 기자회견 “나와 이재명 일대일 구도돼야…김문수론 이길 수 없어” 2 2025.05.20 432 0
13014 204일동안 항해한 핵잠수함 상태 file 2025.05.17 327 0
13013 나치 독일이 초반에 그토록 강력했던 이유 2 file 2025.05.17 345 0
13012 이재명이... 61살밖에 안 됐어....? 4 2025.05.15 643 0
13011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의 비극, 조승희는 누구인가? 알아보자 file 2025.05.14 795 0
13010 옛날 동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결말과 다른 이유(천사까지..?) file 2025.05.11 609 0
13009 17세기 초 베트남에서 활동한 예수회의 포교 문구는 "서양인의 마음으로 들어오겠습니까?" 였는데 1 2025.05.11 606 0
13008 동양 서양 역사가 겹치는 타임라인 2 file 2025.05.11 795 0
13007 문명7 재밌네..... 1 2025.05.11 611 0
13006 청동기 시대 라는 말만 들으면 반달돌칼 민무늬 토기 자동으로 떠올라서 막 원시부족 우가우가 이런 느낌이 드는데 2 2025.05.11 653 0
13005 이탈리아 기사 서사시 광란의 오를란도 복간 결정! 2 file 2025.05.11 623 1
13004 한덕수 밀어주기 가는것같네 ㅋㅋ 국민의힘 ㅋㅋ풉 2025.05.10 616 0
13003 "대선 후보 한덕수로 교체" 초유의 사태..결국 김문수 갈아치운 국민의힘 2 2025.05.10 677 0
13002 한나 아렌트 악의 급진성으로 보는 한국의 전체주의 교육 2025.05.05 949 0
13001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는 인공지능🌐 인간이 AI와 함께 살아가는 최고의 방법 file 2025.05.01 587 0
13000 더쿠 회원가입, 2024년/2025년 최신 정보! 언제? 가입 방법, 꿀팁 총정리 (눈팅 vs 가입) 2025.05.01 1099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5 Next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