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조회 수 2319 추천 수 0 댓글 2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7cf3c028e2f206a26d81f6e7418171641

 

- 씨앗에서 짜낸 기름(식용유)은 몇 가지 이유로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주장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

 

 

 

 

 

 

 

 

 

 

 

7ff3c028e2f206a26d81f6e2428877642

 

 

7ef3c028e2f206a26d81f6e14783706b3

 

heart.org/en/news/2024/08/20/theres-no-reason-to-avoid-seed-oils-and-plenty-of-reasons-to-eat-them

 

 

 

 

 

 

79f3c028e2f206a26d81f6e14586736c4

 

health.clevelandclinic.org/seed-oils-are-they-actually-toxic

 

 

 

 

 

 

 

7bf3c028e2f206a26d81f6e3458072655

 

hsph.harvard.edu/news/hsph-in-the-news/scientists-debunk-seed-oil-health-risks/

 

 

 

 

 

 

7af3c028e2f206a26d81f6e44583746ade6

 

chhs.colostate.edu/krnc/monthly-blog/should-i-be-concerned-about-seed-oils/

 

 

 

 

 

 

- 씨앗 기름에 오메가6 지방산이 풍부한 것은 사실이나 이를 섭취한다고 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은 아닙니다.

- 반대로 오메가6의 섭취는 염증과 질병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씨앗 기름이 몸에 해로운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이런 식용유를 주로 (설탕과 나트륨이 많은)가공식품과 외식에서 섭취하기 때문입니다.

- 오메가6의 오해와 진실에 대해서는 이전글(gall.dcinside.com/m/nutrition/540359)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ced9e36ebd518986abce8954580756b867

 

 

75f3c028e2f206a26d81f6e14f8176658

 

veri.co/learn/are-seed-oils-bad-for-you?srsltid=AfmBOoqHVrTOQ-5qifyMyZA0bSR3hhVUy29T★t6wIPUREQGM5DTxR3KJi

 

 

 

 

 

 

74f3c028e2f206a26d81f6e446877d6d4f9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 정제 과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매 헥산, 그리고 기름의 산패 문제는 식약처에서 설정한 기준으로 관리가 되고 있습니다.

- 기준치 이하로 관리가 되더라도 개인에 따라 찜찜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대안으로 냉압착 방식의 기름(올리브유 등)을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7cec9e36ebd518986abce89543897c690610

 

 

actascientific.com/ASNH/pdf/ASNH-02-0083.pdf

 

 

 

- 포도씨유와 카놀라유를 가열하면 트랜스지방산이 많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240도까지 가열하면 트랜스지방이 1% 조금 넘게 생성됩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트랜스지방산의 1일 섭취량을 총 열량의 1% 이내로 제한할 것을 권고합니다.

- 포도씨유와 카놀라유를 가열하여 트랜스지방산이 1%내외로 생겼다고 가정하면 이 식용유들로 트랜스지방산을 상한섭취량만큼 먹기 위해서 남자(2600kcal)의 경우 289g, 여자(2000kcal)의 경우 222g만큼의 식용유(포도씨유 혹은 카놀라유)를 섭취해야 합니다.

- 물론 트랜스지방을 식용유로만 섭취하는 것은 아니기에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적게 먹어야 하겠지만 이런 식용유들을 매일같이 많은 양을 먹는 것이 아니라 가끔 적당한 양을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7cef9e36ebd518986abce8954f807669de11

 

 

7cee9e36ebd518986abce8954e83776f1312

 

 

7ce99e36ebd518986abce89541807d6c3313

 

 

7ce89e36ebd518986abce8954e80756fbc14

 

 

22b0d521e4c637b26fb385e34f9f2e2d3c5689f5c835d2118bcba14ccb15

 

 

079cfd07ccff078267bac2b404c8023c2b862d21b8b77d379dcbd2161125b6398fc352de20476d713f51c5908ad9e133b32f9f1f58ee0657f4460f16

 

 

nutritionsource.hsph.harvard.edu/2016/07/05/different-dietary-fat-different-risk-of-mortality/

 

 

 

 

- 일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오메가3,6), 단일불포화지방산(오메가9),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순으로 건강에 이롭습니다.(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은 건강에 해롭습니다.)

- 반대로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오메가9), 다가불포화지방산(오메가6,3) 순으로 안정적인데 불포화지방산(오메가6)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씨앗 기름은 이 점에서 고온 조리에 취약합니다.

- 씨앗 기름을 고온에서 오랜 시간 가열할수록 극성 화합물의 생성이 증가하고 산화 안정성은 감소합니다.

-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외식(치킨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오메가6 기름이 몸에 해로운 것이 아니라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한 오메가6 기름을 설탕 및 나트륨과 함께 먹는(외식, 가공식품) 식습관이 건강을 해칩니다.

- 적당한 온도에서 짧은 시간 조리한다면 오메가6가 많은 씨앗 기름을 사용해도 크게 해롭지 않을 것입니다.

- 가열 조리 시 조금이라도 더 건강에 이로운 식용유를 선호한다면 오메가9이 풍부해서 안정성이 높은 올리브유와 아보카도유를, 비용적인 측면을 중요시한다면 씨앗 기름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입니다.(하지만 오메가3가 많은 들기름과 아마씨유는 가열에 사용하는 것을 권하지 않습니다.)

- 물론 가열하지 않고 생식을 한다면 앞서 언급한 다가불포화지방산(오메가3,6)이 단일불포화지방산(오메가9)보다 건강에 더 이롭습니다.

 

 

- 포화지방산이 열에 안정적이라고 해서 코코넛유나 버터를 식용유로 추천하기는 어렵습니다.

- 포화지방산을 과다섭취하면 콜레스테롤 증가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포화지방이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될 독극물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포화지방을 하루 총 열량의 10% 이내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코코넛 오일과 버터만으로 하루 포화지방 제한선까지 채우려 한다면 남자(2600kcal)의 경우 코코넛 오일 33g, 버터 60g 그리고 여자(2000kcal)의 경우 코코넛 오일 25g, 버터 46g을 섭취해야 합니다.

- 개인의 선호에 따라 코코넛 오일과 버터도 요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적절한 양을 사용하여 포화지방을 과다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7cef8977b3ed6af63ceee9e44f87750285018edc8ddcd2a27e1124145bbe84921dac81760a972844a56d17

 

 

7cef8977b3ed6af63ceee9e44f87750285018edd8ddcd2a27e11231f5e8e9aa8f8c2b5c22456d04a0018

 

bmcmedicine.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16-021-01961-2

 

 

 

 

 

 

 

7ceb9e36ebd518986abce89545847d643819

 

ahajournals.org/doi/10.1161/CIRCULATIONAHA.119.043052

 

 

 

 

 

 

 

7cea9e36ebd518986abce895478271683ae520

 

nutritionsource.hsph.harvard.edu/food-features/coconut-oil/

  • 덕후냥이 2024.11.15 10:48
    비회원은 댓글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덕후냥이 2024.11.15 10:48
    비회원은 댓글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422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29255 64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3213 44 2025.01.21
475 MSM(식이유황) 궁금한 사람 봐 384 0 2023.07.31
474 이제 아이허브에서 약 못산다고 보면된다ㅇㅇㅇㅇ 386 0 2023.07.31
473 하루 먹는 영양제 397 0 2023.07.31
472 내가 먹고 효과본 영양제 얘기해본다(스압!) 452 0 2023.07.31
471 비타민 문제 409 0 2023.07.31
470 서양인이 동양인보다  열많은 체질이다 411 0 2023.07.31
469 운동이 최고인거같다 하루에 수개의 영양제 , 메가도스까지 해봐도 380 0 2023.07.31
468 메가도스 절대로 하지마라 432 0 2023.07.31
467 OptiMSM Flake 와 Powder 차이에 관한 제품 설명 477 0 2023.07.31
466 msm 부작용중 하나가 간수치 file 539 0 2023.07.31
465 MSM 복용 1년 후기와 섭취 중단 예정 517 0 2023.07.31
464 msm 1년복용후기 462 0 2023.07.31
463 MSM부작용 후기가 없다고?? 후기모음.jpg file 425 0 2023.07.31
462 갑자기 번뜩 생각이 들었는데 nac,알파리포산 통관금지가.. 424 0 2023.07.31
461 영양제 1달 후기 412 0 2023.07.31
460 담배피는 애들 웃긴점 420 0 2023.07.31
459 천연, 합성 구분은 상술이다 386 0 2023.07.31
458 msm 메가도스 후기 411 0 2023.07.31
457 20대한테 좋은거 추천해준다 396 0 2023.07.31
456 왜 (일부) 항산화제가 암에 안좋은지 알아보자 file 420 0 2023.07.31
455 영양제라는게 왜있겠냐 378 0 2023.07.31
454 꼭 영양제 챙겨먹는 새끼들이 일찍 죽던데 395 0 2023.07.31
453 비타민D 영양제의 진실.jpg file 386 0 2023.07.31
452 팩트체크: 비타민 B6과 B12가 진짜로 남자에게 폐암을 가져다주는가? 480 0 2023.07.31
451 비타민c나 오메가3가 독이될수도..jpg file 397 0 2023.07.31
450 영양제랑 커피나이것저것 섞어먹다 빙의경험함 450 0 2023.07.31
449 비타민 D 과복용 추천하는 사람 믿지마라 file 566 0 2023.07.31
448 비타민c는 많이 먹어봐야 아무 의미 없다 1 437 1 2023.07.31
447 얼라이브 후기의 진실..jpg file 366 0 2023.07.31
446 약물 중독의 무서움 462 0 2023.07.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