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9.20 21:36
탄수화물 먹지 말라는 이유 : 인슐린의 작용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1
탄수화물 먹어서 올라가는 혈당은 빠르게 적정수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그 자체로 독소로서 작용함.
당뇨합병증으로 발가락 썩어없어지는게 고혈당의 결과임.
그래서 췌장이 빠르게 혈당을 낮추려고 인슐린을 분비하는 거임.
근데 혈당을 에너지로 다 소모할 수가 없어서 일정 이상은
전부 지방으로 저장하는거임. 혈액속에 냅두면 좃되니까.
근데 그 췌장이 망가지거나 인슐린의 혈당 처리능력이
떨어져서 혈당 10처리하는데 인슐린 10이 들어야 정상인데
그게 20, 30, 100씩 들기 시작하면 췌장은 췌장대로
망가지고 인슐린의 지방저장기능 + 허기 자극은 인슐린이
과다분비된 만큼 강해져서 조금 먹어도 더 찌고
허기진 느낌은 더욱 강해져서 식욕은 더더욱 폭등한다.
결국
“먹는다 -> 인슐린 과다분비 -> 더 배고프다 -> 더먹거나
참느라 스트레스로 다이어트 실패 -> 더 먹는다 -> 더 찐다
-> 심장병 당뇨 등등도 세트로 동반”
이라는 인슐린 저항성의 악순환에 빠지게 되는 것임.
이게 더 심해지면 아예 인슐린이 효과가 없거나 인슐린을
분비 못해서 고혈당이 우리가 흔히 아는 당뇨병임.
심지어 살 안쪘어도 유전 등으로 췌장이 약하면
(대다수의 한국인은 췌장이 서양인보다 약함)
인슐린 저항성이 생김.
이걸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인슐린 자극을
안하면 어떨까에서 출발한게 현대 키토제닉 식단이고
저탄고지의 의의임. 지방은 인슐린 자극을 하지 않기
때문.
1줄요약: 이 글이 이미 수많은 논문의 요약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