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대위 → 중장급 → 대위… 직책이 격렬하게 오르내려.경찰 예비대의 편성은 창설 당시 구 일본군 간부들을 배제해 이뤄졌다.사복조의 톱인 마스하라 에요시 장관도, 제복조의 톱의 하야시 게이조 총감도 전 내무관료였다.그 때문에 상급 지휘관의 부족이 고민의 시작이었다.NHK 기자를 그만두고 입대한 "사카모토 료쿠"라는 인물은, 동대졸(도쿄대 졸업자 학력)에서, 전시중에 견습사관(육군은 준위, 해군은 병조장 계급으로 자대에서 6개월관 지휘 실습후 정식으로 소위 임관하는 일본군 제도)이었던 것을 팔리고 있는지, 갑자기 일등 경찰사(대위)로 임용되었다.게다가 중간 사령부 A 사령관에도 임명되었다.이것은 현재의 북부 방면 총감에 해당하는 중장급 직책이였다.사카모토는 갑자기 간부의 아래에서 세 번째 계급으로 임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거기에서 5개 계급 이상에 상당하는 직무를 맡겼다는 것이다.하지만 이런 상태는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새로운 지휘관이 왔을 때, 다음에 「격하」를 먹었다고 한다.“그리고 1개월 정도면 정식 사령관이 임명되어 와서 나는 사단장으로, 4일 정도면 또 정식 사단장이 와서 연대장으로 격하.거기서 부대 이주 명령으로 12월 초에 약 1000여명이 소속된 연대를 데리고 우츠노미야에 갔다.거기에 진짜 연대장이 부임해 와서, 나는 연대의 정보 막료가 되었다.정식이 아니었다.어쨌든 하룻밤에 된 중장에서 원래 일위(인용자주, 대위)로 내려갈 때까지 약 3개월.그 후, 일위에서 다시 육장(중장)이 되기까지 25년이 걸렸다”(요미우리 신문전 후 사반편 「재군비」의 궤적)그런 사카모토 료쿠도, 본인이 말하는 대로 육장까지 승진. 제9사단장, 육상자위대 간부학교장 등을 맡아 퇴관했다.
https://gendai.media/articles/-/74520?imp=0
사마모토 료쿠 육장(육상자위대 중장) 1950.??.?? ~ 1978.7.1 재임, 제 9사단장, 육상자위대 간부학교 학교장 역임.구글 번역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