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간지나는 고성능 하이엔드 컴퓨터 조립하기
목차는 이렇습니다.
1. 게임을 위해서 - NVIDIA? AMD?
2. SLI/ CF를 위한 마더보드 레이아웃
3. 필요한 파워용량 계산하기
4. SLI/ CF 설치법
5. 이종간 VGA의 Hybrid 구성
6. Hybrid PhysX in AMD RADEON
7. 쿨링 생각하기
8. 멀티모니터 구성법
9. 제조사 이야기
여러분.
VGA 설치는 게이머로써 가장 관심가는 부분이고, 업그레이드 시 가장 설레이는 부분입니다.
그럼 열!혈! 하이엔드 게이밍 컴퓨터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배워나가봅시다!!
1. 게임을 위해서 - NVIDIA? AMD?
"TWIMTBP". The way it's meant to be played.
바로 유명한 엔비디아의 광고카피문구입니다.
광고 문구대로.. 확실히 2007~2008년 이전의 게임들은 게임 = 엔비디아라는 공식이 대부분의 경우에 성립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지난 몇년간 라데온의 4000대와 5000대의 성공적인 활약 덕분에 라데온의 시장점유율이 많이 상승하였고
요즈음은 라데온과 지포스를 사용하는 게이머들의 비율이 1:1에 근접하였습니다.(2009년 Steam 하드웨어 통계 참조)
그에 상응하여 최근에 나온 게임일 수록 라데온도 지포스 못지 않게 잘 굴러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 예상됩니다.
따라서 현재의 입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VGA는 현재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이 잘 돌아가는 제품을 구매하세요.
라데온과 지포스의 게이밍 퍼포먼스는 게임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그리고 예전처럼 지포스가 실성능에서 절대적 우위에 있지도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멀티 vga 구성시에도 SLI와 CF의 지원 비율은 거의 비슷합니다.
SLI의 지원 비율이 CF 지원 비율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지도 않습니다.
고로 원하는 게임이 있으면 그 게임에 대한 벤치마크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고 구매할 VGA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게임에 대한 신뢰성 높은 벤치마크를 제공하는 국내 싸이트를 하나 소개해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라데온이 하나 괜찮은 점은 있습니다.
바로 색감과 Eyefinity입니다.
라데온과 지포스는 3D 게임상에서 모니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질적인 색감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비교를 해보자면 라데온은 따뜻하고 화사한 색감을, 지포스는 약간 물빠진 색이 나온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좀더 생동감있는 화면을 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라데온을 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모니터 칼리브레이션 차원의 이야기 이전의 이야기입니다.
(이부분은 제가 지어내는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 제가 확인한 것입니다. 저는 지포스와 라데온을 모두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아이피니티 기술은 다중모니터를 사용할 때 여러 디스플레이를 단일 디스플레이처럼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는 모니터를 추가하여 화면을 확장하는 것과 개념이 다릅니다.
마치 하나의 큰 모니터의 화면을 여러 모니터로 쪼개어 주사하는 것 같은 기술이지요.
반면 엔비디아가 괜찮은 점도 있습니다.
바로 게임의 안정성과 SLI의 높은 효율, 그리고 PhysX와 Cuda와 같은 컴퓨팅능력입니다.
우선 PhysX와 CUDA는 지포스 전용 기술입니다.
다음 라데온 드라이버인 카탈리스트는 지포스 드라이버인 포스웨어보다 좀더 사용하기에 복잡한 구석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는 게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것은 게이밍 퍼포먼스의 지표인 FPS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또한 SLI는 CF보다 높은 효율을 자랑합니다.
이론적으로도 동종의 VGA를 두개 설치한다고 싱글 VGA 대비 200%의 성능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만
SLI는 400 씨리즈에서 2way SLI시 190%에 가까운 효율을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게임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따라서 멀티 VGA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엔비디아로 가는 경향이 있으나
또 꼭 그렇지만도 않은 이유는
최신 지포스 400 씨리즈는 성능 대비 전력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라데온으로 가는 경우 또한 적지 않습니다.
이야기가 복잡해지죠?
ㅎ..
그냥 자기 게임에 맞는 것을 구매하세요..
2. SLI/ CF를 위한 마더보드 레이아웃
복수개의 VGA를 달기 위해선 마더보드의 PCI-e 레인 레이아웃을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이번 파트는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도록 할까요?
예시1) ASUS RAMPAGE III
|
|
예시 2) EVGA e762 4way classified
|
|
예시 3) GIGABYTE GA-P55A-UD3R V2
|
|
예시 4) ASUS P7P55D-E Deluxe
|
|
사례들을 보면서 이해가 가셨는지요?
무턱대고 구매하지 말고.. 레이아웃을 보면서 여러분의 필요에 맞는 것을 고르시길 바랍니다.
3. 필요한 파워용량 계산하기
여러분들이 SLI나 CF 구성을 하고자 한다면 대체 몇와트짜리 파워를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가장 정확한 정보는 벤치마크를 참고하는 것입니다.
Playwares.com과 같은 싸이트를 통하여 게임별/시스템별 소비전력 벤치마크를 참고하도록 하세요.
게임을 돌리다보면 전력소모량이 최대점을 찍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여러분이 선택할 파워는 벤치마크에서 이점 이상의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만약 개략적인 계산을 원한다면 다음의 링크에서 자신이 조립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계산값을 알아보세요.
http://extreme.outervision.com/psucalculatorlite.jsp
4. SLI/CF 설치하기
일단 VGA를 차례대로 마더보드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음 SLI나 CF 브릿지를 커넥터에 꼽으시면 됩니다.
여기서 VGA에 따라 아래 그림처럼 브릿지가 한 개 혹은 두 개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듀얼 VGA 구성을 위해선 각각의 VGA의 단자 한개씩만 연결하면 정상작동 합니다.
두 개 모두 연결해야된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그렇다고 둘 다 연결한다고 오류나는 것은 아님)
아래 설명을 참고해보세요.
|
|
5. 이종간 VGA의 Hybrid 구성
여기선 Hybrid Crossfire, Hybrid SLI, 그리고 라데온-지포스 이종간 Hybrids 시스템 구성 방법을 순서대로 이야기 하겠습니다.
1) Hybrid Crossfire
혹시 라데온 5970과 5870을 합쳐서 총 3개의 GPU로 트리플 크로스파이어가 가능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가지고 계신다면 가능하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근데 5870과 5850을 가지고 크로스파이어가 가능할까.. 라고 물으신다면
반쯤 가능하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그 이유는 5870과 5850이 크로스파이어에서 호환은 가능하지만
5850의 성능이 5870보다 더 낮기 때문에 이 구성은 5850 두장으로 구성한 크로스파이어와 동일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한마디로 비효율적인 것이지요.
그럼 5870과 5770을 묶는 것은 가능할까?
이것은 불가능합니다. 이건 전의 예와는 다르게 아예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라데온 이종간 호환성 차트는 아례 그림으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누르면 원본크기로 나옵니다.
2) Hybrid SLI
안타깝게도 현재 이종간 SLI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NVIDIA에서 Hybrid SLI라는 기술은 모바일 GPU와 외장 GPU간의 SLI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고로 GTX 480과 GTX 460을 묶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비일반적인 방법이라면?
이쪽을 아시는 분은 댓글로 정보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이종간 Hybrid
라데온과 지포스를 같이 섞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일반 마더보드에서는 불가능하므로 Hydra라는 특수한 칩셋이 들어간 보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보드 선택이 제한적이지요. 일례로 MSI의 BigBang Fuzion 보드가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Hydra 칩셋의 경우는 CF나 SLI보다 효율이 퍽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라데온과 지포스의 전기종이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고
세부적인 제한들이 존재하므로 기술문서를 잘 살피셔야만 합니다.
게다가 신제품의 VGA들이 나오면 바로 지원되는 것이 아니라 Hydra 드라이버가 업데이트 되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한마디로 쓰기 골치아프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이 보드는 생각보다 판매가 부진했습니다.
6. Hybrid PhysX in AMD RADEON
많은 게임들에서 PhysX라는 기술이 사용되어 화려한 물리효과를 게임상에서 구현하여 더 현실적인 그래픽을 제공합니다.
본래 PhysX 엔진은 CPU에서 만국 공통으로 연산이 가능합니다만..
VGA가속 PhysX는 CPU가속보다 훨씬 효율적이지만 지포스에서만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가진 사람들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라데온 그래픽카드와 지포스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지포스는 순전히 피직스 연산 전용으로 물려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바로 PhysX MOD 입니다.
PhysX MOD는 대단히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성능에도 문제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한번 구성해볼 만한 환경입니다.
PhysX MOD를 사용하려면 제가 일전에 작성한 포스트가 있으니 아래 링크를 방문해보세요.
http://blog.naver.com/gothamsi/110517936
7. 쿨링 생각하기
VGA는 발열이 상당히 심한 제품입니다.
하이엔드 VGA일 수록 발열은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냉각성능이 좋지 못한경우 다음의 증상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1) 게임을 한참 하는데 그래픽이 살짝 깨지기 시작한다.
2) 게임을 한참 하는데 블루스크린이 명확한 이유없이 발생한다.
3) 컴퓨터에서 탄내가 난다.
4) 사용한지 몇 개월 지나지 않아 그래픽카드가 사망한다.
따라서 고사양 VGA, 특히 SLI/CF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쿨링에 큰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먼저 VGA 쿨러에는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
|
그리고 여러분.
CF/SLI를 구성하실 때 만약 남는 여분의 PCI-e 슬롯이 발생한다면
인접한 두 VGA 사이는 간격을 벌려서 설치해주는 것이 VGA 자체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주세요.
또한 어떤 분들은 아래 그림처럼 별도의 쿨러를 설치하여 VGA를 더욱 냉각시키기도 합니다.
아래 두 제품을 많이들 이용합니다.
참고해보세요.
|
|
8. 멀티모니터 구성법
하이엔드 게이밍 컴퓨터를 구상중이신 많은 분들은 여러 대의 모니터를 설치하고 싶은 경우도 있습니다.
한 번 알아봅시다.
엔비디아의 제품들은 거의 대부분의 한개의 VGA가 두개의 모니터를 출력합니다.
반면 라데온은 5000 세대 이후로 Eyefinity 라는 기술이 적용되면서 한 개의 VGA가 최대 6개까지의 모니터 출력이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VGA에 따라 최대 연결가능한 모니터의 갯수가 다르니 이 점은 각 제품의 기술문서를 참고하세요.
또 주의하실 점은 SLI나 CF를 구성하면 하나의 VGA에서만 모니터 출력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2개의 5870으로 CF를 구성해서 윗쪽 5870에 모니터를 2개, 아랫쪽 5870에 모니터를 1개 물렸습니다.
이렇게 하면 윗쪽 5870의 모니터 2개만 출력이 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 문제점을 우회하려면
1번 방법 : 윗쪽 5870에 모니터를 3개 모두 물리시던지
2번 방법 : 아니면 제어판에서 Eyefinity를 적용하시던지
3번 방법 : Crossfire를 푸시면 됩니다. (ㅡㅡ;;;;;;;;;;)
지포스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VGA가 2개의 출력만 가능하므로 1번 방법은 불가능하고 Eyefinity 기술이 없으니 2번도 불가능하고
3번 방법 : SLI를 푸시던지..
4번 방법 : Multiscreen Stereoscopic 3D 기술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크로스파이어의 멀티모니터 구성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각보다 많이 복잡합니다.
그리고 멀티모니터는 하나의 거대한 토픽이라서 할 얘기가 많습니다.
제가 일전에 써놓은 포스트가 있으니 아래 링크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모니터를 4대까지 묶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실재적인 정보가 많이 있을 겁니다.
http://blog.naver.com/gothamsi/98314013 <---- 참고로 매우 잘 썼습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9. 제조사 이야기
VGA 제조사들은 GIGABYTE와 MSI를 빼놓곤 저마다 독특한 개성이 있습니다.
일부 제조사는 친NVIDIA이거나 친AMD라서 각각의 계열에 기술적 지원이 활발하고 주력 제품라인이 다릅니다.
또한 브랜드있는 제조사의 VGA를 구매하시는 것이 실재 제품도 튼튼하고 부품도 좋은 것을 사용하므로써
VGA 사용 수명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꼭 알아두세요!!
그럼 내구성이 뛰어나며 인지도 높은 몇몇 브랜드들을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1) EVGA : NVIDIA ONLY 파트너입니다. 지포스만 생산하고 매우 고성능이거나 실험적인 VGA를 많이 제조합니다. SC, SSC 라인업들은 팩토리 오버클럭을 한 제품들이라 가격이 비쌉니다. 특히 SSC나 FTW 같은 경우는 최상위 계열이고 수율이 좋은 칩을 선별하여 제조합니다. 내구성도 대단히 좋은 감히 최고의 브랜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RMA 수리는 조금 거추장스러운 부분이 단점입니다. NVIDIA VGA 계열 최고 브랜드입니다.
2) SAPPHIRE : AMD ONLY 파트너이자, #1 파트너입니다. 라데온만 생산하며 5850x2와 같은 실험적인 제품은 사파이어에서만 독점 계약을 맺어 판매합니다. 사파이어를 상징하는 파란색 기판이 특징이며 훌륭한 내구성과 다양한 라인업을 자랑합니다. 5890 4GB와 같은 라데온의 진정한 최상위 그래픽카드는 주로 사파이어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XFX : 예전에는 지포스만 만들었지만 최근에는 라데온만 만들고 그 덕에 엔비디아에서 파트너쉽을 거부당한 기업입니다. 훌륭한 제품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비래퍼런스 버젼을 제조합니다. 라데온 최상위 모델을 제조하여 기술력을 과시하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4) ASUS : 가격 거품이 꽤 심한 기업입니다. 동종 레퍼런스 버젼도 특출나지 않는데 GIGABYTE처럼 국내가가 다소 높습니다. 하지만 뛰어난 내구성과 국내의 A/S가 좋고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기업인만큼 플래그쉽의 최상계열의 제품을 많이 만들어 기술력을 과시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비레퍼런스 제품이 최근에 성능이 별로 시원찮다는 의견이 많습니다.(예 : 5870 MATRIX와 5870 V2) 그래서 별로..
5) Rextech : 엔비디아의 파트너중 하나인데.. 요즘 하이엔드 유저 사이에선 거의 EVGA로 몰린 분위기입니다.
6) Galaxy : 엔비디아 파트너입니다. 지포스만 생산하며 매우 독특한 외관을 가진 제품들을 많이 내놓습니다. 싱글슬롯 VGA와 같은 실험적인 제품도 많습니다. 최근에 국내에 지사를 오픈하여 가격경쟁과 A/S가 한층 나아질 것이란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7) ZOTAC : 엔비디아 파트너입니다. 제품들이 전반적으로 훌륭합니다.
기타 많은 브랜드들이 있지만 이정도로 적당히 소개하고 마치겠습니다.
빛 :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sli이나 크파구성에대해 자세하게 다룬글이 없는것같아 다른곳에서 퍼왓습니다 ^^ㅋ
엔비디아와 ati로 구성도 가능하네요;;;;;; 첨알았습니다 ㅋㅋ;;; 포트가 비슷하니 가능하지않을까 생각한적은있엇지만
이글을보니 아주 자세하게 나와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