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46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나덬은 개신교 모태신앙이고 모태신앙 대부분이 그러하듯 청소년기에 자아란 게 생기면서 교회 안다님 ㅋㅋ 그래도 성부성자성령의 존재는 믿었음
그러던 원더기는 천주교 집안 남자를 만나 개종을 권유받게 되는데..
결과적으론 개종해서 좋음 ㅋㅋ 분위기가 나랑 더 맞는다 해야하나
코로나때문에 예비자 교리를 장장 10개월에 걸쳐서 했는데
1년 가까이 성당 다니며 느낀 점들이 참 많음 ㅋㅋ 성당에서도 이런 건 말 못하고 친구들도 관심 없고 ㅋㅋㅋ 그러니까 더쿠에다 할래

*개신교나 천주교나 같은 신을 믿는다고 인정은 함. 교리 자료도 개신교에서 만든 거 많이 보여줌. 개신교는 자본을 많이 쓰니까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등 제작이 많이 돼서 그런 듯. 미사 끝나고 성가대에서 ccm 부르고 그럼. 세부 교리의 차이가 있는 거지 절대적인 근본 교리가 같기 때문. 하지만 서로 아니꼽게 본다 ㅋㅋ 이건 개신교인이 천주교를 말할 때와 천주교인이 개신교를 말할 때 은근히 대놓고 드러남. 서로 아니라 그러는데 가운데 끼인 나는 둘다 느껴짐 ㅜㅜ

*천주교는 타 종교에 굉장히 너그럽지만 사실은 엄청 엄격함(??)
이걸 시댁에서도 느끼고 성당 다니는 1년간 계속 느낌. 난 원래 믿어서 별 상관 없었지만 대외적 이미지와 달라서 첨엔 좀 놀랐음. 그리고 신자들을 프리하게 풀어주는 만큼 신부님/수녀님의 고뇌도 있었음. 전교를 너무 안해서 걱정, 냉담자가 너무 많아서 걱정..

*순결을 강조하는 건 기독교는 일맥상통인데 천주교는 부부 관계에서도 따지는 게 꽤 많음. 피임을 하면 안된다고 해서 띠용함. 개신교도 결혼하면 몸이 안 따라주는 게 아닌 이상 자녀 출산을 권해서 비슷하긴 한데 확실히 천주교가 더 보수적임

*교리 기간 내내 수녀님과 수업을 함께 했는데 수도자의 삶에 입이 쩍 벌어짐. 하루종일 일하고 기도하고 가끔 피정가서 쉬는데 그땐 말 그대로 하느님과 단둘의 시간ㅋㅋㅋ 그게 일생의 일상 전부임. 선물을 받아도 다 나눠줌. 미사든 어떤 행사든 수녀님이 싹 다 준비하고 정리까지 다함. 신부님은 그에 비해 수월한 삶으로 보일 정도임. 어떻게 저렇게 살 수 있을까 싶은데 하느님과 함께 행복하다 하셔서 저게 신앙의 길이구나싶음. 내게 수녀님들은 나 스스로를 돌아보며 반성하게 되는 존재임

우리집은 다 개신교 집안이고 목사도 여럿 나온데다 엄마는 전도사임 ㅋㅋㅋ 엄만 남편이 천주교라서 어차피 같은 신 믿는거라고 ㅇㅋ했는데 시댁은 개신교 싫다고 해서 서운한 것도 많고 울기도 많이 울었음
남편이 성당을 안 다니거든. 냉담 오래했고 지금은 아예 안 믿는 사람인데 며느리가 믿으면 아들도 다닐까봐 나한테 계속 권하신 거
지금은 다 괜찮아졌고 시댁과도 화목함
종교적인 거 외엔 넘 좋으신 분들임. 노터치 노간섭. 집앞까지 와도 며느리 불편할까봐 우리집에 한번을 안 들어오시는 분들임
이번에 세례 받는다고 시아버지가 옷 선물도 해주시고 성물 선물도 어엄청 받음 ㅋㅋ 남편이랑 둘이 다 양팔에 끼고 손에 들고 엘베 누를 손도 없고ㅋㅋㅋ 넘 훈훈하고 좋았움

이제 우리 가족에게만 말하면 완벽하게 마무리!
아직 개종한 거 우리집엔 말 못했는데 시댁 때문에 개종했다고 맘 아파하실까봐가 1번이고 동생이 더 난리칠 것 같아서가 2번
동생이 유난이라서... 얘는 한국 개신교도 맨날 욕하고 교리 지적 엄청 하고 난리도 아님. 하루종일 토론각이라서 엄두가 안난다 아직...

아! 미사때 독서도 했는데 적성에 딱 맞음!! 우째 초신자한테 바로 시키냐 시부모님도 어리둥절 하셨는데 아유 넘 잘한다구 ㅋㅋ 신부님 수녀님도 독서 잘한다고 자주 하라심 ㅋㅋㅋㅋㅋ 집에 가정제대도 꾸렸고 이제 즐겁게 신앙생활 하는 것만 남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1 2024.11.04 25750
공지 클릭만 해도 포인트 만렙! 도전 2025.03.19 4436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0342
777 일반 철학자 김재인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한권의책] file 2025.04.28 839
776 일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제3부 12 #니체 #차라투스트라 #오디오북 #철학 #책읽기 file 2025.04.28 848
775 일반 내 맘대로 사는데 왜 사는 게 고통일까? | 행복의 역설 | 뇌과학 file 2025.04.28 829
774 마음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 현대인들의 자아상실에 대해서 [데미안 책 요약] file 2025.04.28 831
773 리뷰 마음이 불안한 인간의 자기 혐오 이야기. [인간실격 책 요약] file 2025.04.28 823
772 리뷰 프란츠 카프카 『변신』 요약 + 인간 소외와 고립에 대한 해설 file 2025.04.28 818
771 리뷰 반야심경(般若心經) : 260자에 불교의 지혜를 응축시킨 경전 file 2025.04.28 805
770 리뷰 니체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feat. 신의 죽음, 힘에의 의지, 영원회귀, 위버멘쉬) file 2025.04.28 809
769 리뷰 니체 철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 - 보다 강한 나를 만나고 싶을 때 file 2025.04.28 826
768 리뷰 진지한 사랑이 줄어드는 이유 가벼움과 무거움에 대해서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해석] file 2025.04.28 834
767 질문 요즘 볼만한 책? 1 2025.04.24 1267
766 일반 “시골의사 박경철의 초 레전드 영상“ | 내 인생의 W를 찾아라 | 120만뷰 1+2+3편 통합 집대성 file 2025.03.19 722
765 시골의사 박경철 - 다음의 W를 찾아서 file 2025.03.19 712
764 일반 시골의사 박경철의 독서공감 2025.03.19 721
763 일반 니체의 정신이 붕괴된 진짜 원인 | 19세기 의료기록 속의 충격적 진단 2025.03.14 1451
762 일반 자기계발서 끊임없이 읽는 덬? 4 2024.12.26 88
761 일반 유럽 인문학과의 만남 2 2024.12.12 71
760 일반 도갤에서 자주 언급되진 않지만 참 좋은 문학 몇편... 2024.12.12 71
759 일반 불교 입문 서적 추천 좀 2 2024.12.12 83
758 일반 양장본 가운데에 천이랑 종이 접합부 다 떨어짐 어떡함?? 1 2024.12.12 65
757 일반 진짜 생초보 장르문학 지망생들에 대한 조언.txt 3 2024.12.12 84
756 일반 이 책 1권만 읽어도 평생 무식하단 소리 들을리 없다. 2 2024.12.12 75
755 일반 토마스 만의 마의 산을 읽는데 진짜 나의 독서의 벽이 느껴짐. 2024.12.12 71
754 일반 15만권의 책을 독파한 초천재 라즈니쉬의 독서평 및 인물평 2024.12.12 84
753 리뷰 인기있는 SF소설 TOP 100 file 2024.12.12 122
752 일반 창녀가 등장하는 소설 2024.12.12 58
751 일반 심리학 좋아하는 사람들아 봐봐 2024.12.12 62
750 일반 자기계발서가 기능적 측면에서는 이익이 있는가 2024.12.12 55
749 일반 책은 정말 묘하다. - 내 인생 최고의 책 - 2 2024.12.12 63
748 일반 정의란 무엇인가 열풍에 대한 조소 2 2024.12.12 6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