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초보자 하기엔 어려움 영상 개속해서 봐야 함 ㅋ
휠 트루잉, 특히 좌우(래터럴) 교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요 공구 및 준비
- 휠 트루잉 스탠드: 휠셋을 거치하고 변형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한 필수 공구입니다.
- 스포크 렌치: 스포크의 장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 텐션 미터 (선택 사항): 스포크 장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좋지만, 없는 경우 기타 피크를 사용하여 스포크 소리의 높낮이를 비교하여 장력의 높고 낮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 초기 설정: 휠셋을 스탠드에 거치하고, 인디케이터(지시계)를 림에 닿는 지점의 2/3 정도 높이에 맞춰 고정합니다.
2. 스포크 렌치 사용법 및 장력 조절
- 장력 높이기 (조이기): 스포크 렌치를 끼우고 보는 방향에서 **시계 반대 방향(왼쪽)**으로 니플을 돌리거나, 렌치를 끼웠을 때 검지와 중지에 힘을 주어 밀면 스포크 장력이 높아집니다.
- 장력 낮추기 (풀기): 스포크 렌치를 끼우고 **시계 방향(오른쪽)**으로 니플을 돌리거나, 엄지에 힘을 주어 밀면 스포크 장력이 낮아집니다.
- 주의: 일반적인 나사 조임과 반대 방향이므로 혼동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회전량의 의미:
- 1/2 턴: 렌치가 12시 방향일 때 6시 방향까지 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 1/4 턴: 렌치가 12시 방향일 때 9시 방향까지 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일관성: 트루잉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동일한 회전량(1/2 또는 1/4 턴)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전에 연습하여 감을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3. 좌우(래터럴) 교정 과정
- 변형 지점 찾기: 휠셋을 천천히 돌리면서 인디케이터를 림에 살짝 닿게 하여 림이 튀어나온(변형된) 부분을 확인합니다. 이때 인디케이터가 미세하게 닿는 것이 변형 지점의 중간을 찾기에 좋습니다.
- 가장 심한 지점 파악: 인디케이터가 림에 닿기 시작하는 지점부터 끝나는 지점까지 휠을 앞뒤로 천천히 이동시켜 가장 심하게 닿는(튀어나온) 중심 지점을 찾습니다.
- 스포크 결정 및 장력 조절 원리:
- 림이 인디케이터에 닿아 튀어나온 경우, 닿는 부분의 반대쪽 스포크의 장력을 높여서 림을 당겨 교정합니다.
- 스포크와 스포크 사이가 닿을 때: 인디케이터에서 가장 가까운 반대쪽 스포크(예: 림이 오른쪽에 닿으면 왼쪽 스포크)의 장력을 1/2 턴 높여줍니다.
- 특정 스포크 바로 아래가 닿을 때: 해당 스포크(예: 오른쪽 스포크 바로 아래 닿으면 오른쪽 스포크)의 장력을 1/2 턴 높여줍니다.
- 두 스포크가 관여할 때 장력 확인: 텐션 미터가 있다면 장력이 낮은 스포크를 확인하고, 없다면 기타 피크로 두드려 소리 높이가 낮은(장력이 낮은) 스포크를 찾아 1/2 턴 높여줍니다. 만약 두 스포크의 장력이 비슷하다면 각각 1/4 턴씩 높일 수도 있습니다.
- 교정 확인: 스포크 장력 조절 후 휠을 다시 돌려 인디케이터와의 마찰음이 사라졌는지 확인합니다. 마찰음이 없어졌다면 교정이 성공한 것입니다. 변화가 없다면 스포크 선택이나 돌리는 방향이 잘못되었을 수 있으니 다시 확인합니다.
- 휠 뒤집기 (양방향 트루잉): 한쪽 면에서 3군데 정도 교정을 완료했다면, 휠셋을 뒤집어서 반대쪽도 트루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특정 스포크의 장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초보자가 스포크 렌치 방향에 혼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정밀 교정 (1/4 턴 활용): 트루잉이 진행되어 림의 오차가 미세해지면 1/2 턴은 오히려 반대쪽으로 림을 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더 미세한 조절을 위해 1/4 턴을 사용하여 완성도 높은 트루잉을 할 수 있습니다.
- 최종 목표: 0.5mm 이하의 오차 범위 (튀어나온 부분과 들어간 부분의 편차)로 좌우(래터럴) 교정을 완료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좌우 교정이 정확하게 완료된 후에 상하(레디얼) 교정을 진행합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ZQe1_jbob8I
간단하게 정리
🚲 [휠 트루잉 기본 - 래터럴(좌우) 교정 요약]
자전거 휠 정비 중 하나인 "트루잉(Truing)" 작업 중에서 '래터럴 정렬(좌우 흔들림)' 교정에 대한 유튜브 영상을 커뮤 스타일로 정리함!
🔧 사용하는 도구
-
휠 트루잉 스탠드 (있으면 좋고, 없어도 대체 가능)
-
스포크 렌치
-
인디케이터 또는 간단한 마찰 체크 도구 (타이랩, 케이블타이 등으로 대체 가능)
🎯 기본 개념
-
휠 림이 좌우로 흔들리는 부분을 교정함
-
림이 한쪽으로 튀어나왔으면 반대쪽 스포크 장력을 높여서 당겨주는 방식
🌀 스포크 렌치 돌리는 방향 팁
-
우리가 림 쪽에서 볼 때:
-
시계 방향: 장력 ↓ (느슨해짐)
-
반시계 방향: 장력 ↑ (조여짐)
-
-
헷갈릴 땐 손가락으로 감각 기억하기:
-
검지/중지로 밀면 조임↑
-
엄지로 밀면 풀림↓
-
🔁 턴(turn)의 기준
-
1턴 = 한 바퀴
-
1/2턴 = 12시 → 6시 방향
-
1/4턴 = 12시 → 9시 방향
-
일관되게 돌려야 정밀하게 교정 가능
🛠️ 작업 순서 요약
-
휠을 스탠드에 고정
-
인디케이터를 림 가까이 위치시킴 (살짝 닿을 듯 말 듯)
-
휠을 천천히 돌리면서 닿는 지점 확인
-
닿는 쪽 반대 스포크를 돌려서 조여줌
-
1/2턴 또는 1/4턴씩 소량 조절 → 닿는 소리가 사라지면 OK
-
소리/접촉 없을 때까지 반복
🔔 추가 팁
-
여러 지점 동시에 닿으면 그 중심 찾아서 그 주변 스포크 2~3개 조절
-
텐션미터 없으면 스포크를 손/기타처럼 퉁 쳐서 소리로 비교 (소리 낮은 쪽이 느슨함)
-
반대편 스포크도 번갈아가며 교정해야 장력 균형 맞음
📌 주의사항
-
처음엔 1/2턴씩, 나중엔 미세 조절할 땐 1/4턴 또는 그 이하로
-
한쪽만 계속 조절하면 장력 불균형 생김
✅ 정리하자면...
-
닿는 부분 확인 → 반대편 스포크 조임
-
많이 닿는 곳은 중심 잡고 주변 스포크 분산 조정
-
미세하게, 반복해서 → 직진성 확보!
초보자도 차근차근 따라 하면 충분히 할 수 있음!
다음 편은 레디얼(상하) 정렬이라고 하니 그것도 기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