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일단 전기자전거 배터리의 표준은 36v야.
왜 48v가 아니라 36v냐고? 유럽에서 전기자전거는 36V까지만 허용해 줬거든.
물론 한국은 유럽이 아니기 때문에 36v를 넘어선 48v 제품도 최근 많이 출시되고 있지.
이 상황에서 전기자전거를 처음 접하는 갤러들이 헷갈릴만한 부분이 하나 있어.
바로 배터리 용량이야
이전까지는 몇 ah인지만 보면 배터리 용량을 알 수 있었지만
이제는 v도 따져봐야 해.
여기서 나는 이걸 합쳐서 w로 계산 할거야
어떻게 하냐고? 단순하게 v랑 a를 곱하면 w가 나와
V*Ah=Wh거든
예를 들어서 36v 20ah 배터리면 36v*20ah=720wh가 되는거야
여기서 w는 흔히 말하는 와트야. 헤어드라이기에 1500w급 이렇게 써 있는거랑 똑같은거지
h는 1시간을 의미해. 간단하게 설명해서 720wh면 720w의 파워로 1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야.
한번 48v 제품으로 계산해 볼까?
48v 15ah 제품이면 48*15=720 이니까 얘도 720wh의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있는거지
그러니까 36v 20ah 제품이랑 48v 15ah 제품은 배터리 용량이 같은거야.
만약 이 배터리를 이용해서 360w의 일을 하면 2시간을 할 수 있어. 360*2=720이므로
전기자전거는 36v 350w 모터라고 해서 항상 350w로 일한다는 뜻은 아니야
일반적으로 평지에서는 100~200w 정도를 소비하고 오르막에서는 컨트롤러에서 지원하는 최대 출력으로 들어가
+스피드센서 기준, 오르막에서 pas5단에 속도가 25km/h 미만으로 떨어진 상황이면 무조건 최대전류가 들어감.
만약 컨트롤러가 18a 짜리가 들어있으면 648w를 소비하는거지
본인의 배터리 용량과 주행습관, 무게, 오르막 여부등을 고려하면 어느정도 예상 주행거리를 구할 수 있을거야.
추가로 48v가 36v보다 힘이 더 좋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이건 다른 영향이 더 커
전압이 올라가면 이점이 있는건 맞지만 48v면 자동차 하이브리드 시스템에도 들어가는 수준의 전압이거든
1
굉장히 높은 전압이야. 기껏해야 100kg정도 나가고 25km/h가 최대속도인 전기자전거에서는 36v나 48v나 그게 그거지.
그렇지만 사용자들이 느끼는건 달라. 48v가 힘이 좋지~ 라고 말해.
왜그러냐면
36v 제품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기판은 kt lcd5야
이 계기판은 설정모드로 들어가면 파워를 어떻게 줄지 선택할 수 있어.
2
여기서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c5값이 00로 설정되어 있어.
옆에 보면 three level slow starts라고 써있는데 이게 무슨 뜻이냐면
페달 움직임이 감지되도 "처음부터 풀파워로 어시스트를 하지 않고 3번에 걸쳐서 서서히 어시스트 전류를 올리겠습니다." 라는 뜻이야
그러니까 36v라 파워가 약한게 아니라 소프트웨어에서 제한하고 있었던거지.
만약 본인 전자가 해당된다면 한번 10번으로 값을 바꿔봐. 깜짝 놀랄걸?
+물론 36v랑 48v 차이가 없다는건 아니야. 본인이 생각하는 차이가 경험에서 나오는거라면 다른 변수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일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