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2교시의 코어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세번째 시간에는 자유형과 배영에 대해 알아보겠다.
우선 자유형.
자유형에는 3가지 요소가 존재한다.
스트로크, 킥, 드리븐
위 세가지 개념은 삼위일체다.
크리스트교의 삼위일체와 유교의 군사부일체처럼 자유형에서 필수적인 3요소다.
1. 스트로크
상체의 힘을 이용해 손으로 당기는 스트로크.
스트로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은 많다.
스트로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엔트리 - 푸쉬- 캐치 - 풀 -피니쉬 (다운스윞-인스윞-업스윞)
초보자에게 중요한 과정은 엔트리와 풀 과정에 있다.
1.엔트리가 왜 중요하냐고?
펠프스의 다큐멘터리를 보면 과학자들이 분석한 결과
엔트리 과정에서 즉 다운스위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한다.
온전히 물을 잡아채서 뒤로 힘을 전달해야 더 큰 힘의 반작용이 일어나서 속도가 올라가는데
만약에 기포가 발생한다면 우리의 힘은 공기방울에게 빼앗겨 버리는것이다.
수일쿤들은 수영을 할때 본인의 스트로크 과정에서 공기방울이 얼만큼 발생하는지 유심히 관찰해보라.
만약 당신의 스트로크에서 공기방울이 다량 발생한다면 당신의 스트로크는 잘못 된 것이다.
그 때문에 우리는 엔트리 직후 푸쉬와 다운스위프를 확실하게 해줘야한다.
푸쉬로 어깨를 롤링한 뒤에 천천히 자연스럽게 손을 가라앉히는 다운스위프 다음 캐치, 풀!
다운스위프의 과정이 어렵다면 천천히 자유형을 돌면서 구분동작으로 텀을 두고 연습해보자.
2. 풀 동작 시에 팔꿈치의 각도
하이엘보에 대해서 많은 말들이 있지만
아마추어 영역에서는 너무 큰 각도로 가지고 가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분명한 건 팔꿈치를 세워서 당겨야 한다는 것.
자연스럽게 팔꿈치를 구부려서 당기는것이다.
"하이엘보를 왜 해야하나요?"
힘을 응집시키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바닥에 놓인 어떤 물건을 든다고 가정해보자
그 물건의 무게는 대략 20kg 정도이다.
팔을 쭉 핀 채로 그 물건을 들어보자.
우리는 팔의 어떤 근육도 쓰지 못할것이다.
단지 어깨쪽에 붙어있는 근육만을 이용해서 물건을 들어올리게된다.
이때 힘의 효율은 떨어지고 어깨가 빠지게될지도 모른다.
이번에는 팔을 어느정도 구부린채로 들어보자.
팔의 모든 근육을 골고루 쓰면서 어깨 부상도 방지하고 힘의 효율은 높아질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하이엘보를 연습해야하는 이유이다.
힘의 응집, 어깨부상 방지.
이 스트로크의 방식에도 여러가지가 있다는것을 알고있는가?
to be continued